올해 2분기(4∼6월) 대구의 건설공사 계약액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6천억원, 경북은 2천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구는 계약액이 1조6천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부터 6분기 내 최고액이다.
26일 국토교통부는 "2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이 60조6천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7% 늘어난 수치이다. 분기별 건설공사 계약액은 2022년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해 4분기 반등했다. 올해 1분기 계약액은 다시 전년 동기보다 7.9% 줄었으나 2분기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2분기에는 민간공사 계약액이 공공공사보다 더 큰 폭으로 늘었다. 반도체 등 산업 설비 사업이 증가한 영향이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발주하는 공공부문 건설공사 계약액은 16조2천억원으로 9.5% 증가했고, 민간부문 계약액은 44조4천억원으로 11.2% 늘었다.
현장 소재지별로 보면 수도권 건설공사 계약액이 36조2천억원으로 12.7%, 비수도권은 24조4천억원으로 8.1% 늘었다. 지역만 따로 떼서 보면 대구는 1조6천억원, 경북은 3조1천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구는 1분기 1조원을 계약해 상반기에 2조6천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조8천억원)와 비교해 8천억원 더 늘었다. 경북도 상반기에 7조3천억원을 계약해 전년(6조7천억원) 대비 6천억원 늘었다.
공종별로 보면 토목 계약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1% 증가한 20조1천억원이었다. 반도체, 발전소 등 대형 산업설비 공사가 늘었기 때문이다. 건축 계약액은 3.4% 증가한 40조5천억원 규모였다.
기업 규모별로는 상위 1∼50위 기업의 계약액이 27조6천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4.3% 증가했다. 51∼100위는 2조8천억으로 21.7% 늘었다. 반면 101∼300위는 4조6천억원으로 11.0% 줄었고, 301∼1천위도 4조5천억원으로 12.1% 감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尹 탄핵심판 결론은 이미 나왔다…결정문 작성 매진
박지원 "탄핵 심판 5:3?…기각하면 제2의 이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