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시장에서 약세장이 지속되면서 투자자들의 거래 열기가 한풀 꺾였다. 5일 한국거래소의 자료에 의하면, 9월 국내 증시(코스피와 코스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6조6천720억원으로 줄어들어 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달의 18조1천970억원보다 8% 감소한 수치다.
올해 1월 19조3천730억원을 기록하던 일평균 거래대금은 3월 22조7천430억원까지 증가세를 보였으나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특히 7월과 8월 각각 19조4천730억원과 18조1천970억원으로 떨어진 뒤 9월에는 16조6천720억원으로 급감하게 됐다.
이러한 거래 부진의 배경에는 반도체 주식의 부진으로 인한 시장 전체의 하락세가 크게 작용했다. 핵심 반도체주들의 부진과 연휴로 인한 거래 공백이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상장주식의 일평균 회전율 또한 9월 들어 1.02%로 낮아져, 지난해 8월의 1.16%에 비해 12% 감소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거래에 나서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지표다.
더불어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감소 추세를 보였다. 한때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20조원을 넘던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9월 말 기준 17조4천640억원으로, 전달보다 3천900억원 감소했다. 이는 주식 투자를 위해 빌린 자금이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증권가에서는 이러한 약세가 10월에도 이어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특히 코스피는 이달 들어 2거래일 동안 0.9% 하락했으며, 여러 시장 전문가들은 실적 발표를 앞둔 삼성전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언급했다.
NH투자증권의 김영환 연구원은 한국의 3분기 실적 전망이 불확실하다고 언급하며, 원화 강세가 수출 기업들의 마진 축소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한편, 대신증권의 이경민 연구원은 10월 코스피가 상승 추세를 재개하기 위해 마지막 조정을 겪을 수 있다고 전하며, 여러 외부 요인에 따라 코스피가 2,400대에 진입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