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부터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막을 올리는 가운데 여야 간 극심한 정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국정감사는 다음달 1일까지 총 17개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802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개원 직후, 특검법 발의와 거부권 행사로 줄곧 대치해 온 여야는 이번 국감장에서 김건희 여사 의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를 둘러싸고 정면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국정감사 기간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공천 개입, 주가 조작 의혹 등 다양한 사안을 제기하며 총공세를 펼칠 계획이다.
김 여사 특검법은 지난 4일 재표결에서 부결돼 자동 폐기됐지만, 야당은 국감 기간 김 여사 의혹에 나서며 이를 발판으로 특검법을 재발의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김건희 가족 비리 및 국정농단 규명 심판 본부'(김건희 심판본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표의 각종 혐의 재판들에 따른 사법 리스크를 이번 국감의 핵심 타깃으로 설정해 맞불 공격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특히 이 대표의 위증교사·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 선고가 다음 달 나오는 만큼 이번 국감을 공세의 기회로 최대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 문재인 전 대통령 관련 의혹을 비롯한 전임 정권 실정 이슈도 추궁한다는 방침이다.
상임위 곳곳에서 국감 증인·참고인 채택을 놓고 전초전을 벌이는 등 충돌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국감의 '최대 전장'으로 꼽히는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민주당은 김 여사를 증인으로 채택했다.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인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과 명태균 씨,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과 관련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도 증인으로 채택됐다.
국민의힘은 대장동 개발 의혹 사건과 관련해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과 남욱 변호사를, 문 전 대통령 관련 검찰 수사와 관련해 문 전 대통령의 딸 다혜 씨 등을 증인으로 채택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지난 1년간 국정을 점검하는 자리가 돼야 할 국정감사가 여야 극한 대결의 장으로 변질돼 버린 점이 안타깝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