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도발에 대응해 대한민국이 공개한 벙커버스터(Bunker buster) '현무-5'가 세계 최강 수준의 위력과 기동력으로 연일 주목받고 있다.
신원식 안보실장은 지난 13일 한 방송에 출연해 "북한이 지난 1일 우리 국군의날 기념식 행사 이후 전례 없이 굉장히 과민반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시 선제적 타격이 가능한 대량응징보복의 핵심 수단"이라는 장내 아나운서의 멘트와 함께 현무-5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최근 이스라엘이 헤즈볼라 수장을 제거한 벙커버스터보다 10배 강력한 현무-5의 실물을 목격한 김정은이 공포심과 섬뜩함을 느꼈을 것으로 분석했다.
벙커버스터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거나 땅속에 있는 벙커처럼 방호력이 높은 구조물을 부수기 위해 개발된 무기다.
앞서 최근 이스라엘은 레바논의 헤즈볼라 수장을 사살할 때 벙커버스터 BLU-109를 사용했다. 870kg의 탄두로 지하 18m 깊이를 관통했다.
현무-5는 이보다 10배 더 강력한 위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탄두 무게가 8~9톤(t)으로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미사일로 불린다. 유사시 지하 100m 깊이의 지하 벙커에 은신한 북한 지휘부와 핵시설을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무-5의 사거리는 탄두 8t 기준 약 300km로, 서울에서 평양까지 약 195km 거리를 넉넉히 날아간다. 대전에서 발사해도 평양을 충분히 타격할 수 있다. 미사일 속도는 마하 10(시속 1만2천240km) 정도로, 1초에 약 3.4km를 날아갈 수 있다.
현무-5는 단순한 파괴력만으로 주목받는 것이 아니다. 이 미사일은 9축, 18륜의 이동식 발사 차량(TEL)을 통해 좁은 도로나 복잡한 지형에서도 기동할 수 있는 '대각선 기동' 능력을 갖췄다.
이는 북한의 TEL과 비교해 월등히 우수한 기술이다. 기동성과 위력을 동시에 갖춘 무기로 평가된다. 지형이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또 18개의 바퀴는 단순히 큰 차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기술적 우위와 더 큰 파괴력을 가질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
중국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DF-31'보다 더 큰 차량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한국이 ICBM 수준의 기술과 파괴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현무-5의 등장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은 이 미사일이 중국과 러시아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보고, 자국 안보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역시 한국의 군사력 증강을 경계하며, 자국의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다.
방산 업계 관계자는 "현무-5는 이제 대한민국이 보유한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됐다"며 "주변국들은 이 미사일이 동북아의 군사적 판도를 어떻게 바꿀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