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운영하는 산불확산예측시스템 정보가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제대로 공유되지 않는 등 시스템 활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영천청도)이 산림청이 운영하는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을 점검한 결과 최근 3년간 발생한 피해 면적 10ha 이상 산불 68건 중 16건에서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이 활용되지 않았다.
시스템이 활용된 52건의 산불 중 절반이 넘는 27건은 초기 진화를 담당하는 관할 지자체에 공유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은 산불 발생 시 발화지의 위치와 지형, 기상 조건 등을 분석해 확산 예측 결과를 도출하고 그 결과를 진화대원 배치와 지역주민 대피 업무 등에 활용하기 위해 산림청이 운용 중이다.
이만희 의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월 발생한 충남 당진 산불의 경우 해당 지역에 건조주의보가 발효돼 대형 산불로 확산될 위험이 높아 산불 발생 초기 예측 결과를 활용한 조기 진화가 필요했음에도 산림청은 해당 시스템을 가동하지 않았다.
산림청이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을 가동한 산불에서도 평균적으로 1시간 48분이 지나서야 예측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만희 의원은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은 90% 이상의 정확도를 갖췄다. 이 정보를 통해 헬기·인력·차량 등 진화자원을 효율적으로 배치·운영할 수 있어 산불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당 시스템의 활용도 및 관련 매뉴얼이 미흡해 조기 진화가 가능한 산불도 대형산불로 번질 수 있어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며 "산불의 규모와 상관없이 대한민국 모든 국민이 산불의 위험에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예측결과를 공유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