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3사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취급액이 1년 사이 약 11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며 인터넷은행이 설립 취지와 다르게 손쉽게 이자 이익을 올릴 수 있는 영업에 치중하는 등 가계대출 급증에 일조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경기 평택병)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주담대(전월세대출 포함) 잔액은 34조4천억원으로, 작년 동월(23조4천억원)보다 47%(약 11조원) 늘었다.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작년 5월(19조3천억원)까지만 하더라도 20조원을 밑돌았다. 그러나 올해 30조원을 훌쩍 넘어선 것.
이러한 증가세는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의 주담대의 증가세보다도 가파르다. 5대 시중은행 주담대는 515조원에서 568조7천억원으로 10.4% 늘어났기 때문.
특히 같은 기간 전체 은행권의 주담대는 655조4천억원에서 714조1천억원으로 8.9% 늘며, 인터넷은행 주담대 증가세가 가파르다는 점이 다시금 강조됐다.
은행별로 보면 케이뱅크의 증가 비율이 가장 컸다. 케이뱅크 주담대 잔액은 작년 8월 4조1천억원에서 올해 8월 7조7천억원으로 87.8%나 급증했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19조3천억원에서 24조9천억원으로 29% 늘었다.
주담대를 취급하지 않는 토스뱅크는 지난해 9월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출시한 이후 잔액이 올해 8월 기준 1조8천억원을 기록했다.
이 같은 상황으로 인해 인터넷은행이 본래 인가 취지인 중·저신용대출 공급보다 부실 우려는 작으면서도 손쉽게 이자이익을 올릴 수 있는 주담대를 확대해 부적절한 영업 행태를 보인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김현정 의원은 "인터넷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을 급격히 늘리는 것은 포용적 금융을 목표로 한 인터넷전문은행의 설립 취지와 맞지 않다"며 "급격한 대출 증가가 가계부채의 질을 악화시키고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