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앞으로 다가온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면서 국내 전기차·배터리 업계에 미칠 여파가 우려된다.
하나금융연구소는 '2025년 일반산업전망' 보고서를 통해 IRA(인플레이션감축법) 축소·폐지에 따른 2차전지, 전기차 산업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는 분석을 내놨다. 또 미국의 수입 관세 인상으로 인한 자동차 수출 위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제시했다.
미국의 공급망 재편에 따라 한국의 배터리 기업들은 수혜를 입었다. 대표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올 3분기 기준 IRA 법안에 따른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는 4천660억원에 달했다. 전기차 수요 둔화로 배터리 업황이 침체되면서 AMPC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아지고 있는 만큼 대선 후 정책 방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입장에서 한국이 주요 무역 적자국인 점도 불안 요소로 꼽힌다. 한국은 2021년까지 미국의 14위 무역수지 적자국이었지만, 이후 꾸준히 순위가 올라 올해 1∼8월까지 중국, 멕시코, 베트남, 독일, 아일랜드, 대만, 일본에 이어 8위로 올라섰다.
올해 9월까지 한국의 대미(對美) 무역수지는 399억달러로 역대 최고 기록이다. 부가가치가 높은 친환경차 수출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하지만 트럼프 집권 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도 보편 관세를 적용할 경우 완성차 수출도 타격을 입을 가능성도 있다.
2차전지 소재 산업의 비중이 높은 대구경북 산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기차·배터리 산업이 위축되면 양극재를 포함한 산업계 전반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산업계 관계자는 "친환경 정책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이 전기차 전환에 변수가 되는 것은 아닌지 불안감이 있다"고 했다.
한국 기업이 미국 현지에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급진적인 정책 방향 전환은 힘들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권오영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장은 "한국 대기업의 현지 생산시설이 공화당이 우세한 조지아주에 몰려 있다. 세부 내용이 수정될 수 있지만 IRA를 철회하는 등 극단적인 조치를 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다만 대선 이후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윤석열 '탄핵소추안' 초안 공개…조국 "尹 정권 조기 종식"
尹 회견때 무슨 사과인지 묻는 기자에 대통령실 "무례하다"
"고의로 카드뮴 유출" 혐의 영풍 석포제련소 전현직 임직원 1심 무죄
"중국인들 모이면 '빌런' 발생"…서울교통공사 혐오 답변 논란
이재명 민주당 대표 "선거법 개정 필요성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