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특별감찰관 임명 논의 방식 놓고 친윤·친한 계파간 신경전 고조

친한 "공개 의원총회서 토론·표결해야' VS 친윤 "용산 마음에 안든다고 밖에다 얘기하나?'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27일 오후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인근에서 열린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27일 오후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인근에서 열린 '역면접x국민의힘, 2030이 묻고 정당이 답하다'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특별감찰관'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조만간 앞둔 가운데 총회 공개 및 표결 여부를 놓고 국민의힘 친한(친한동훈)계와 친윤(친윤석열)계 간 대치 양상이 심화하고 있다.

친한계는 28일 '공개 의원총회'를 요구하며 친윤계를 압박했다. 김종혁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특별감찰관 추천과 관련해 "공개 의원총회를 통해 토론과 표결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당헌에는 '의원총회는 공개를 원칙으로 하지만, 원내대표 또는 출석의원 10인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는 출석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공개하지 아니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다. 때문에 공개 여부를 두고도 의총에서 친한계와 친윤계가 표 대결을 벌일 가능성이 있다.

친한계는 찬성 여론을 조성해 표결 절차를 생략하고, 통상적인 합의 추인 방식으로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을 관철하겠다는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친윤계는 공개 의총 제안에 대한 불쾌감을 드러내며 의총에서 일방적인 추인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 친윤계 의원은 "의총을 공개로 해서 용산이 마음에 안 든다고 밖에다 이야기하는 것이 무슨 도움이 되고 어떻게 여당일 수 있는가"라며 공개 의총 방식을 비판했다.

친한계와 친윤계 대치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당내에서는 계파 갈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윤상현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특별감찰관 추천 문제는 우리 정책 사안이고, 정책을 가지고 의총에서 표결한 적이 거의 없다"며 "표결은 분열의 시초가 되고, 결국 공멸로 가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런 당내 우려를 반영해 한 대표와 추 원내대표가 내홍 확전을 막기 위한 물밑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