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방의료원 전체 의료손실이 5천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돼 정부와 국회가 공공병원 살리기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30일 국회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전국 35개 지방의료원 결산서 등 재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올해 지방의료원 의료손실은 5천281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의료 분야 외의 당기 순손실도 올해 2천511억원으로 전망됐다. 의료원 1곳 당 평균 의료손실은 151억원, 당기순손실은 72억원으로 예상됐다.
지방의료원 대부분이 코로나19 때 쌓인 적자폭을 줄이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의료손실은 1천437억원 가량이었으나 2020년에 5천259억원으로 크게 늘어났고, 이후 손실을 크게 줄이지 못한 채 지난해 5천770억원까지 늘어났다.
보건의료노조는 정부가 지방의료원에 코로나19 손실을 충분히 보상해주지 못해 생긴 결과라고 주장한다. 보건의료노조 측은 "지방의료원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시절에 전담 병원으로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투입됐는데, 전체 35곳 지방의료원의 2020∼2023년 누적 손실은 총 2조969억원이었지만 같은기간 정부는 1조6천억원만 손실보상금으로 지원했다"며 "그동안 코로나19에 따른 손실을 충분히 보상했다는 정부의 주장은 명백한 거짓이며 더 심각한 것은 이런 문제가 장기화할 게 뻔하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건의료노조는 해결책으로 "국가가 투자 수익률이 낮아 민간이 기피하는 지역 필수의료를 지방의료원에 맡긴 만큼 고질적인 적자 구조를 개선할 지불보상체계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