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의 시공사 선정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건설사들은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늘자 몸을 사리는 분위기다.
대구 한 재개발 정비사업 조합은 최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을 진행했지만 단 한 곳의 건설사도 참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장설명회에서는 대형 건설사들이 관심을 보였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아무도 입찰에 나서지 않은 것이다.
해당 조합 관계자는 "일반경쟁입찰은 두 차례나 유찰돼 수의계약으로 전환했다"며 "대구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워낙 좋지 않기 때문에 건설사들이 경쟁하려는 분위기가 아니다. 수의계약에는 관심을 보이는 곳이 좀 있었다"고 말했다.
정비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시공사 선정이 완료된 전국 재건축·재개발 사업장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됐다. 비수도권은 부산 외는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부산도 최근에는 가구수가 3천200가구에 달하고 사업비가 1조4천억원이 넘는 대형 사업이 시공사를 구하지 못해 번번히 유찰되고 있다.
전액 현금으로 납부해야 하는 입찰보증금도 시공사 입장에선 부담이다. 시공사 선정을 앞둔 조합은 시공사에게 적게는 5억원에서 많게는 1천억원이 넘는 입찰보증금을 요구한다. 조합 사업비 등으로 활용되는 입찰보증금이 많으면 많을수록 조합의 사업 재량권이 높아진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시공사들이 200억원 이상은 입찰보증금으로 내야 사업을 따낼 수 있었으나 요즘은 50억원도 부담스러워한다"며 "입찰보증금이 적을수록 시공사 입김이 세진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재건축·재개발이 시급한 노후 주택 비율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 더욱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재건축·재개발이 필요한 30년 이상 된 주거용 건축물 비율은 수도권이 43.3%에 그쳤고 비수도권은 55.2%로 집계됐다.
특히 대구의 노후 주택 비율은 65.2%로 전국 17개 시도 중 부산 68.7%에 이어 두 번째로 나타났다. 전체 주거용 건축물 16만8천976동 가운데 11만228동이 30년 이상 됐다는 의미다. 35년 이상 된 건축물은 8만3천247동으로 49.3%에 달했다. 경북도 전체 50만9천429동 가운데 30년 이상 주거용 건축물이 30만3천737동으로 59.6%를 차지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시공사를 선정하고도 공사비 갈등 탓에 착공으로 이어지지 못한 사업장도 많이 있다"며 "부동산 경기가 어려우니 조합이 을이 되고 시공사가 갑이 됐다. 시공사들은 발을 빼고 싶은 심정일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동상에 밀가루 뿌리고 계란 던지고…영남대 총동창회 "고발 조치"
이재명, 아내 1심 선고 직전 "죽고 싶을 만큼 미안…혜경아, 사랑한다"
'박정희 동상 오물 투척' 수사 착수…어떤 혐의 적용될까
文 "남북 대결 지속되면 '한국 패싱' 가능성…尹, 대북정책 전환해야"
집들이 온 친구 남편이 잠든 사이 성추행…친구와 남편은 '외도' 정황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