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사회 여파로 정년연장 논의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한국 기업 10곳 중 7곳은 근로자의 정년이 연장될 경우 연공·호봉급제 등 인건비 상승으로 경영에 부담이 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계속고용제도가 도입될 경우 퇴직 후 재고용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종업원 300인 이상 국내 기업 121곳의 인사 노무담당자를 대상으로 '고령자 고용정책에 관한 기업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7.8%가 정년연장으로 인한 경영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정년 연장이 경영에 부담이 된다는 기업들은 '연공·호봉급 체계에 따른 인건비 부담 가중'(26.0%)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조직 내 인사 적체 심화'(23.2%), '청년 신규 채용에 부정적 영향'(19.3%), '고령 근로자의 생산성 감소'(16.6%)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계속 고용제도가 도입될 경우 '퇴직 후 재고용'(71.9%) 방식을 가장 선호한다고 했다. 이유로는 '재고용에 따른 고용유연성 확보'(35.2%), '전문성, 희망자 등 일정 기준에 적합한 근로자만 계속 고용 가능'(25.8%), '고령 근로자의 생산성에 연계해 임금수준 조정 가능'(24.5%) 등이 꼽혔다.
계속고용 방식으로는 '우수인력 재고용'(52.2%)이 가장 많았고, 이어 '희망자 재고용'(29.8%), '퇴직자 전원 재고용'(9.0%) 순으로 이어졌다.

정년에 도달한 근로자를 계속 고용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숙련된 고령 인력의 전문성‧노하우를 활용하기 위해'(44.1%)를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어 '인력이 부족한 직군에 활용하기 위해'(26.6%), '신규채용이 원활하지 않아서'(1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고령자 고용에 따른 인사 노무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고령 근로자의 건강 문제 및 산재 리스크 대응'(28.9%), '생산성 저하'(28.9%), '높은 인건비 부담'(24.8%) 등을 들었다.
고령자 계속 고용 환경 조성을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과제는 '고령 인력 채용에 대한 인건비 지원 확대'(28.1%). '고령 인력 채용에 대한 세제 혜택'(24.0%), '임금체계 개편을 위한 취업규칙 변경 절차 개선'(22.3%) 순으로 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정년퇴직 후 재고용 방식은 고령 인력의 생산성에 맞춰 근로시간과 임금 등을 조정해 인력 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기업들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며 "일률적인 정년연장은 지양하고, 고령자 고용기업 혜택 확대, 직무가치‧생산성 등을 반영한 임금체계로의 개편 등을 통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고령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