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7일 대국민 소통에 나서기로 하면서 국정 쇄신을 위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여야 정치권의 각종 요구와 압박 속에 윤 대통령이 전향적인 입장을 내놓는다면 지지율 반등은 물론 후반기 국정 동력을 회복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반면 성과 홍보에만 집중하거나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등 제기된 현안들에 대해 방어적 해명에만 그친다면 더 깊은 수렁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5일 정치권 안팎에서는 윤 대통령이 이번 끝장 기자회견에서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설명할 것이란 분석이 우선 나온다. 최근 야당이 연이어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등 각종 의혹을 쏟아내고 있어 어떤 식으로든 답변이 불가피한 여건이다.
김 여사 특검법, 특별감찰관 임명 문제는 물론 대통령실 인적 개편과 개각 등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여사의 대외 활동과 관련해서는 제2부속실을 설치하고 영부인으로서 최소한의 역할 외에는 자제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김 여사 문제 등 그간의 논란에 대해 전격적으로 사과하고 외교 등 불가피한 활동 외에는 대외 활동을 중단하겠다고 밝힐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그동안 인위적인 인적 쇄신은 없다고 밝혀온 윤 대통령이 기존 입장을 다시 강조할지, 장기간 재임 중인 일부 장관 등을 대상으로 개각 구상을 밝힐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당정 갈등 등 여권이 처한 녹록지 않은 상황에 대해 소통과 화합의 의지도 밝힐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윤 대통령은 집권 하반기 정책과 4대 개혁 추진 방향 등 향후 정국 구상 역시 내놓을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그간 의료와 연금, 노동, 교육 등 4대 개혁은 다른 어떤 개혁 과제보다 중요하고, 임기 중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밝혀 왔다.
아울러 북한의 러시아 파병, 미국 대선 등 산적한 외교·안보 현안과 관련해 흔들림 없는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 또한 피력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관계자는 "앞선 몇 차례 기자회견과 대국민 담화는 국정 동력을 반등시키기보다는 오히려 국민들에게 답답함을 주는 느낌이 강했다"면서 "이번에도 그런 전철을 밟아서는 곤란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