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반환점을 맞은 윤석열 정부는 '탈(脫) 원전' 정책을 과감히 폐기하고, 원전 산업 생태계의 완전한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2036년이면 글로벌 원전 시장 규모가 1천500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원전 강국'으로서의 재도약의 지렛대가 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2022년 7월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등 에너지 정책을 발표했고, 지난해 1월 제10차 전력계획을 발표해 이를 구체화했다. 취임 5개월 만에 원전 6기 건설의 '백지화'를 선언한 문재인 정부와 가장 대비되는 점이다. 원전 생태계 복원은 3‧4호 착공, 신한울 1‧2호기 상업 운전 개시와 준공 등으로 이어졌다.
24조원 규모의 체코 신규 원전 수주도 눈앞에 다가온 가운데, 국내 원전 산업도 전환점을 맞고 있다.
원전 건설은 공사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1개 사업 하나만 수주해도 막대한 규모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발생한다. 통상 원전 1기당 건설비는 10조원 내외가 투입된다. 2기씩 짝을 지어 건설하는 고려할 경우 원전 건설사업 하나에만 20조원 이상 사업비가 된다. 2009년 한국전력이 수주한 UAE바라카 원전은 건설 부문만 200억달러(현재 환율 기준 27조7천650억원), 기술지원과 운영권 등을 합치면 총 400억 달러에 달한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탈원전을 추진한 일부 국가들도 원전 생태계 복원에 한창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수급 불안과 인공지능(AI) 열풍, 반도체 호황 등에 따른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원전 없이 버티기가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AI 개발‧활용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은 전 세계적으로 2022년 기준 460TWh에서 오는 2026년이면 최대 1천50TWh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이유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50년 기준 전세계 원전 발전 용량을 최대 960GW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406GW)와 비교하면 2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대표적 탈원전 국가인 스위스, 스웨덴, 이탈리아를 비롯해 미국과 프랑스,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들도 원전 건설에 적극 나서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해외 원전 건설 수주에 총력을 기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원전산업 생태계 전주기 기반이 조성되고 있는 경북의 입장에서도 호재다. 경북도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폐기한 이후 각종 요인 등으로 인해 세계 시장에서 원전 복원이 이뤄지고 있다"며 "소형모듈원자로(SMR)를 비롯해 지역에 구축돼 있는 원전 산업 관련 기반을 적극 활용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향해 압박 강도 높인 韓…'야권 탄핵 공세 빌미될라' 우려도
尹대통령 7일 대국민담화·기자회견…"분명한 사과 있어야"
한동훈 "김 여사 즉시 대외 활동 중단…尹은 사과해야"
"대한민국 성장의 새로운 중심축, 대구경북특별시"…비수도권 거점 경제축 조성
'갓 튀긴 라면'으로 모두 홀렸다…구미라면축제 "맛, 가격, 낭만 다 잡으며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