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BMI 지수 올리자"에 갑론을박 시작

건보공단 "BMI 25 이상 비만, 근거 명확하지 않아"
비만학회 "세계적으로 수치 낮춰 비만 예방 중"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이 비만 판정의 기준이 되는 체질량지수(BMI) 기준을 올려야 한다는 주장에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시작됐다.

건보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8일 열린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2002∼2003년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847만 명의 사망과 질병 위험을 2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BMI(Body Mass Index)는 몸무게(㎏)를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의 기준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척도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기준에 따라 BMI 18.5∼22.9 '정상', 23∼24.9 '비만 전단계'(위험체중·과체중), 25 이상 '비만'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진이 추적 관찰 결과를 통해 BMI와 총 사망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더니 BMI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은 'U'자 형태가 나타났다. 관찰 시작 시점 이후 6년 내 사망자를 제외한 분석 결과 BMI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고, 저체중인 BMI 18.5 미만과 3단계 비만인 BMI 35 이상에선 BMI 25 구간 대비 사망 위험이 각각 1.72배, 1.64배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을 포함한 심뇌혈관질환과 BMI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BMI가 높아질수록 질병 발생 위험이 전반적으로 증가해 BMI 25 구간을 비만 기준으로 특정할 근거가 명확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오상우 동국대일산병원 교수는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금의 비만 진단 기준을 BMI 27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한국인의 적절한 진단기준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대한비만학회에서 이에 우려를 표하며 현행 기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비만학회는 13일 성명서를 통해 "이번 연구 결과는 처음 밝혀진 것은 아니고 이전의 2006년 국내 공단 자료를 이용한 추적 연구에서도 제시된 바 있고, 아시아인 대상 연구에서 BMI 25 이상부터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며 "비만 관련 만성질환 위험이 BMI 25 이상에서 증가하기 때문에 비만진단기준 25이상은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또 "비만의 진단 목적은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우려를 반영해 비만 진단기준을 설정해야 한다"며 "최근 유럽비만학회는 BMI 25 이상에서도 허리둘레-신장 비율이 0.5를 초과하거나 동반질환이 있을 경우 비만으로 진단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해당 BMI 기준을 27로 제시한 것보다 더 낮춰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적시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러한 추세를 고려할 때 비만 진단기준을 상향하는 것은 비만 관련 동반질환 및 합병증 예방을 통한 국민 건강 증진 목표에 역행하는 제안이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