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1심 선고에서 의원직 상실형을 선고받은 가운데 이 대표의 5가지 사법리스크가 사법처리로 현실화되고 있다.
지난 14일 이 대표 배우자 김혜경 씨에 대한 공직선거법 위반 1심에서 벌금 150만원이 선고된 데 이어 15일에는 이 대표에 대한 공직선거법 위반 1심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의 실형이 선고됐다.
해당 판결이 대법원에서 확정될 경우 이 대표는 피선거권이 박탈돼 차기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이 대표는 "도저히 수긍하기 어려운 결론"이라며 "항소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15일 1심 판결이 나온 공직선거법 재판 외에도 위증교사, 대장동‧백현동 개발비리 의혹 및 성남FC 불법 후원금 수수 의혹, 쌍방울 대북송금 제3자 뇌물죄 등으로 기소돼 모두 4건의 재판을 받고 있다.
특히 이 대표가 받고 있는 위증교사 혐의는 지난해 9월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돼 실시된 영장실질심사를 담당한 유창훈 부장판사가 '범죄혐의가 소명된다'고 언급한 바 있어 25일 재판부가 어떤 판결을 내릴지 주목받고 있다.
만약 1심에서 금고 이상의 실형이 선고되고 차기 대선 전에 그대로 확정될 경우에도 이 대표는 차기 대선에 출마하지 못하게 된다. 이 대표에 대한 '사법리스크'가 '사법처리'로 현실화할 경우 이 대표의 정치 앞길이 가로막히게 된다.

이에 16일 더불어민주당은 오후 4시 30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일대에서 검찰·사법부 규탄 발언 및 지지층 결집을 위해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특검 촉구 제3차 국민 행동의 날' 도심 집회를 연다. 지난 2일과 9일에 이어 세 번째 열리는 집회다.
이날 집회 목적인 '김건희 특검법 수용 촉구'보다 '이 대표 지키기'에 발언의 무게가 쏠릴지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집회를 마친 뒤 오후 5시 30분부터는 '김건희 특검 수용 국정농단 규명 윤석열을 거부한다' 시민행진에 합류할 예정이다. 거부권을 거부하는 전국비상행동이 주최하는 행진으로, 정권 규탄 성격의 시민단체 행사에 민주당이 함께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표와 박 원내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등이 발언자로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