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인 가족 김장 비용이 지난해보다 1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전문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김장재료(4인 기준)를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비용은 33만1천500원이다. 이는 지난해 30만1천원 대비 10.13% 늘었다.
물가정보가 조사한 기준(할인 지원 등 제외)으로 배춧(20포기)값은 올해 10만원이다. 지난해(8만원) 대비 25% 상승했다. 무(10개)값은 1만5천원에서 3만원으로 두 배나 치솟았다.
쪽파(2단)는 66.67% 오른 2만원, 총각무(3단)는 1만3천500원으로 12.50% 올랐다.
이에 반해 생강(-30.00%)과 천일염(-28.57%), 대파(-25.00%) 가격은 작년보다 내렸다. 깐마늘과 멸치액젓 가격은 지난해와 같았다.
양념에 들어가는 고춧가루와 소금 등 부재료는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로 나타났다.
김장재료를 대형마트에서 구매한 비용은 39만9천430원이다. 지난해 36만6천360원보다 9.03% 늘었고, 배춧값은 20.88%, 무는 106.15%씩 비싸졌다.
김장 부재료 등의 김장 재료는 작황이 좋은 데다 정부 비축 물량까지 공급돼 가격이 계속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팀장은 "배추 가격은 생산 시기와 지역에 따른 품질 차이를 고려할 때 작년과 비교해 아직 비싼 편"이라며 "올해는 여름철 이상기후로 배추 정식 시기가 늦어진 만큼 김장용 배추로 적합한 속이 더 차오르고 수분이 빠진 좋은 배추를 구매하려면 평소보다 1∼2주 늦게 김장하는 것이 지혜로운 김장법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배추는 출하 지역이 확대되고 출하 물량이 늘어 가격이 하향 안정세로 접어들었다"며 "최대 주산지인 호남 지역 재배 물량 출하가 본격화하면서 가격은 더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