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산업의 체계적인 육성과 발전에 필요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법안이 추진된다.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고령성주칠곡)은 18일 이러한 취지를 담은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발전 등에 관한 법률안' 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2022년 11월에 등장한 ChatGPT(챗GPT) 이후 인공지능(AI)은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미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인공지능 모델을 선보여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9월 19일 세계 3대 인공지능 지수 중 하나로 평가되는 영국 토터스 미디어가 발표한 '2024년 글로벌 AI 인덱스'에 따르면 한국의 AI 경쟁력은 세계 6위로 평가돼 미국, 중국, 싱가폴, 영국, 프랑스에 뒤를 이었다.
그러나 법률로 통과된 AI 관련 법안 수 등을 측정하는 운영 환경 부문에서는 35위를 차지, AI 관련 법적 기반이 미흡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정희용 의원이 발의한 법안은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과 기본 원칙을 정하고 국가 중심의 컨트롤타워 구축에 초점을 둔 인공지능위원회의 역할을 규정하여 인공지능산업의 발전과 인공지능사회의 신뢰 기반 조성에 필요한 사항을 담았다.
법률안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인공지능과 관련된 주요 용어 정의 규정 ▷인공지능산업 육성 및 신뢰확보를 위한 추진체계 마련 ▷인공지능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 정책 마련 ▷인공지능윤리 및 신뢰성 확보 등을 신설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산업에 대한 지원 정책의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고 공정성·투명성·책임성을 확보, 국민의 권익과 존엄성 보호는 물론 인공지능 부문의 전문인력 양성으로 국가경쟁력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정 의원이 발의한 법률안에는 농어촌 지역 등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인공지능을 활용해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내용도 담겨 눈길을 끈다.
정희용 의원은 "이번 제정안이 인공지능산업 발전의 초석이 돼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대한민국이 AI 기술 주도권 경쟁에서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온 국민이 불편함 없이 인공지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과 보급에 힘쓸 것"이라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AI 기술의 국가경쟁력 강화와 인공지능산업 발전을 위한 입법·정책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더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은 무효"…尹 구속 후 첫 주말집회, 궂은 날씨에도 부산역 뒤덮은 인파
헌재 "문형배 SNS, 尹탄핵심판과 연관없어…본질왜곡"
울부짖은 전한길 "헌법재판관 '검은 커넥션'…이 재판을 국민들이 신뢰하겠나"
김부겸 "제왕적 대통령제 걷어내야…비상계엄 사태 터진 이유"
[단독인터뷰] 그라운드C 김성원, 헌법재판소 편향성 저격… "국민이 납득할 수 있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