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7∼9월) 가계부채 규모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불어났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면서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이 이어진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올 4분기부터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19일 한은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913조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말(1천895조8천억원)보다 18조원 증가한 것으로,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증가 폭도 2021년 3분기(35조원)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을 더한 '포괄적 가계부채'를 말한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지난해 2분기(8조2천억원)부터 4분기(조원)까지 증가세를 유지하다 올해 1분기 3조1천억원 감소했지만 곧바로 반등했다.
3분기 말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 잔액은 1천795조8천억원으로 전 분기 말(1천779조8천억원)보다 16조원 확대됐다. 이 또한 2021년 3분기(34조8천억원)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천112조1천억원으로 19조4천억원 늘며 급증세를 보였다.
대출 창구별로 보면 예금은행 가계대출 잔액이 959조2천억원으로 22조7천억원 늘어났다. 반면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304조3천억원으로 1조7천억원 감소했다. 주담대 9천억원 증가에도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6천억원 축소하면서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거래가 늘면서 주담대 증가 폭이 커졌다"면서 향후 추세와 관련해서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거시 건전성 정책과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등으로 9월 들어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다. 주택거래에 1∼3개월 후행하는 주담대 특성을 고려하면 수도권 주택거래 증가 속도가 더뎌진 만큼 대출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근혜 전 대통령, 與 TK 중진들과 오찬…"잘 됐으면 좋겠다"
박근혜 전 대통령, 대구서 TK 중진 의원들과 오찬 회동
'의원직 상실형' 이재명, 최종심까지 정국 혼돈의 시간
대구경북행정통합 반대하는 북부권 주민들, 타지역 설명회까지 찾아가 시위
민주당, 선거비 434억 어떻게 갚을까…여의도 당사 매각해도 34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