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일극주의로 전력 수급 불안정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전력 소모가 큰 첨단산업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성장하면서 비수도권은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공급기지'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20일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산업계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한 전력 공급 최적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송전망의 적기 확충을 위한 국가적 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국내 최대 전력 수요는 2003년 47GW(기가와트)에서 2023년 94GW로 98% 증가했으며, 발전 설비 용량은 같은 기간 56GW에서 143GW로 154% 늘었다. 이에 반해 송전 설비는 같은 기간 2만8천260c-㎞(서킷 킬로미터·송전선로 길이의 단위)에서 3만5천596c-㎞로 26% 증가하는 데 그쳤다.
동해안∼신가평 500㎸(킬로볼트) 초고압 직류송전(HVDC) 건설 사업이 당초 계획보다 66개월 지연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송전망 건설 지연에 따라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 산업 발전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용인 일대 조성 중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더불어 AI 산업 인프라의 핵심인 데이터센터도 수도권에 밀집해 있다.
정부는 지난해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을 마련했으나 지역 분산은 여전히 요원한 상태다. 실제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는 최근 현재 건립 추진 중인 데이터센터 36곳 중 과반 이상인 21곳(58.3%)이 수도권에 부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설홍수 경북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장은 "청정에너지의 원활한 공급이 첨단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며 "경북은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자급률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첨단산업 육성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에 발맞춰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유망 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