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유통업체 전체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7% 증가했다. 대형마트·백화점 등의 매출 부진으로 오프라인 매출은 전년과 같은 수준으로 조사됐으나 온라인 매출은 13.9% 성장했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0월 국내 주요 23개 유통업체 매출은 15조2천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달보다 6.7% 증가한 수준이다.
오프라인 매출 중 대형마트·백화점은 각각 3.4%, 2.6% 하락해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편의점과 준대규모점포(SSM)는 3.7%, 7.1% 올랐다. 이에 따라 전체 매출은 전년과 같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오프라인 유통업체 중 대형마트에서는 김장·집밥 수요가 늘면서 식품 분야가 2.4% 성장한 반면, 가전·문화가 22.2% 줄어들었다.
백화점의 경우 식품(2.5%), 해외유명브랜드(2.5%)는 상승했으나 가을옷 구매가 줄어들고 휴일 수 또한 하루 줄면서 대부분 감소세를 보였다.
편의점은 식품(4.0%), 비식품(3.4%) 모두 성장했다. 준대규모점포의 경우 집밥 수요 증가로 식품군(8.3%) 중심으로 크게 성장한 반면 비식품군은 5.5% 감소했다.
온라인 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3.9% 늘었다. 여행상품·음식 배달 수요 증가로 서비스(66.5%), 식품(24.8%) 부문이 성장세를 견인한 반면 패션·의류는 9.8% 감소했다.
스포츠도 6.6% 감소해 부진이 지속됐고 가전·전자 부문 역시 12.7% 하락했다. 이는 알리익스프레스 등 중국계 이커머스 플랫폼을 이용한 해외 구매 증가 영향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온라인 매출 비중은 51.9%로, 오프라인(48.1%)을 3개월 만에 다시 넘어섰다.
한편 산업부는 백화점(롯데·현대·신세계),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편의점(GS25·CU·세븐일레븐), SSM(이마트에브리데이·롯데슈퍼·GS더프레시·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 13곳과 SSG, 쿠팡, 11번가 등 10개 온라인 유통사의 매출 동향을 집계해 발표한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