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제철중 진학 갈등에 '지역 내 사설 전세버스 등하교 다음달부터 전면 중단'

제철중 내 '타지역 학생들 사설 전세버스 단속해달라' 민원 폭증
전세버스협회 양성화 요구하며 운행 중단 결정…등하교 학생들 때아닌 된서리

'지곡단지 학습권 회복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가 효자초의 학구 분리 등을 요구하며 28일 포항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신동우 기자

경북 포항 효자초등학교 졸업생들의 제철중학교 진학문제(매일신문 지난 11일 등 보도)로 빚어진 갈등이 지역 내 전체 학생들의 등하교 불편으로 이어지게 됐다.

타지역 학생들이 제철중으로 등하교 하기 위해 이용하던 사설 전세버스에 대한 민원이 폭증하면서 전세버스들이 아예 포항지역 전체 등하교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효자초(포항시 남구 효자동)의 제철중 진학문제는 지난 2010년부터 불거진 오랜 논란이다.

남구 지곡동의 제철초·지곡초와 효자동의 효자초 등 3곳의 졸업생들은 그동안 모두 제철중(남구 지곡동)에 진학해 왔으나 제철중의 과밀화가 너무 극심해지면서 동지역이 달랐던 효자초 졸업생들의 진학 문제가 논란이 됐다.

아직 이렇다할 합의점이 도출되지 않은 상황에서 과밀화된 학생 수로 인해 등하교시 많은 차량이 몰리게 되자 최근에는 '사설 등하교 전세버스 운영을 단속해달라'는 민원까지 폭증하고 있다.

학원장 등 공식적인 기관 운영자가 계약하지 않은 사설 전세버스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따라 모두 불법이다.

적발시 ▷180만원 ▷2차 360만원 ▷3차 540만원의 과태료를 물게 된다.

그러나 편의를 위해 매달 약 200만원의 비용을 학부모들이 나눠 분담하며 사설 전세버스를 운영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사설 전세버스 고발 사례가 늘어나자 포항전세버스협회 측은 지난 27일 총회를 갖고 '다음달부터 포항지역 내 등하교 운영을 전면 중단할 것'이라고 포항시에 통보했다.

아직 학기가 진행 중이라 포항시에서는 학생들의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방학 전까지 유예기간을 가질 것을 제안했지만, 전세버스협회 측이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전세버스협회 측은 "언제 적발될지 모르는 위험성을 안고 운영하기 보다는 각 학교장이 정식으로 계약해 적법하게 운영하도록 해달라"는 요구사항도 제시했다.

현재 포항에는 ▷초등 68곳(학생 수 2만5천703명) ▷중등 34곳(1만3천718명) ▷고등 27곳(1만2천449명)의 학교(분교 미포함)가 있다.

이 가운데 고등학교 4곳만이 용역 위탁계약을 맺고 정식 등하교 전세버스(21대)를 운영 중이다.

단순 계산으로도 2만명에 가까운 학생들이 대중교통이나 사설 전세버스를 이용해 등하교를 하고 있는 셈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아무리 위법이라도 학기 중에 당장 사설 전세버스가 운영 중단되면 학생들의 불편이 너무 커지게 된다"며 "각 학교별로 정식 버스 운행 계약을 유도하고 있지만, 노선 문제 등 넘어야할 산이 너무 많다. 우선 대중교통 이용을 권고하며 가능한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 중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곡단지 학습권 회복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는 28일 포항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치논리로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지 말고 상식적인 학구 배정과 제철중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미 2년 전에 효자초의 학구 분리가 행정 예고됐음에도 일부 경북도의원 등에 의해서 또 다시 제철중 배정 문제가 불거지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사설 전세버스가 중단되는 것은 유감이지만, 이 문제로 지곡동 주민들의 책임을 물으려는 여론전도 의심된다. 본질을 똑바로 바라봐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