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모야모야'병 앓던 10대, 응급실 헤매다 끝내 사망

의정갈등이 장기화하며 전국 곳곳에서 응급실 진료중단이 현실화하고 있는 가운데 3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앞에 구급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정갈등이 장기화하며 전국 곳곳에서 응급실 진료중단이 현실화하고 있는 가운데 3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앞에 구급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모야모야'병으로 투병하다 뇌출혈로 쓰러진 16살 학생이 진료받을 수 있는 응급실을 찾지 못해 치료가 지연되면서 끝내 숨진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3일 YTN 보도에 따르면 뇌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모야모야병을 앓던 경기 수원시 우만동에 사는 16살 A군은 지난 15일 0시 30분 뇌출혈 쓰러져 구급차로 이송됐다.

구급대원들은 급히 아이를 치료할 병원을 찾기 시작했으나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했다. A군이 탄 구급차는 응급실을 찾기 위해 전화를 돌리면서 한동안 움직이지 못해 치료가 지연됐다.

인근 중소병원과 대학병원 두 곳을 포함해 할 수 있는 데까지 모두 연락을 취했지만 진료가 가능하다는 곳은 없었다. 두 곳은 인력 문제로 답변에 시간이 걸렸고 전원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왔다.

겨우 집에서 9km 떨어진 응급실 한 곳이 연결됐고 첫 신고 70분 만에야 병원에 도착했지만 해당 병원은 수술이 어렵다며 다른 곳으로 안내했다. 이 과정에서 또 네 시간이 흘렀고 A군은 결국 15㎞ 떨어진 군포에 있는 병원에 도착해 첫 신고 6시간 만에야 수술대에 올랐다.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A군은 사경을 헤매다 결국 일주일 만에 세상을 떠났다.

A군을 받아주지 않은 대학병원은 YTN에 중환자실에 자리가 없어 불가능하다거나 응급실에 의료진이 없어 배후 진료가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한편, 모야모야병은 특별한 이유 없이 뇌 속 특정 혈관(내경동맥의 끝부분)이 막히는 만성 진행성 뇌혈관 질환이다. 모야모야병은 발병 후 일단 증상이 생기면 원 상태로의 회복이 불가능하고 병 자체의 원인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난치병에 속한다.

다행히 조기 진단으로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면 완치에 가까운 치료 성과를 거둘 수 있고 환자는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조기 진단이 이뤄지지 않고 뇌허혈이 반복되는 시기에 자칫 방치할 경우 뇌경색으로 진행되어 영구적인 신경마비 증상이 동반되거나 사망에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