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전기차 비야디(BYD)의 한국 진출이 일본 진출 만큼 순조롭지 못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BYD가 한국과 상황이 비슷한 일본 시장에 재작년 진출한 뒤 각종 프로모션을 추진했지만,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렌터카와 법인차 등 틈새시장을 공략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3일 'BYD 일본 시장 현황과 국내 업계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BYD의 일본 실적 부진 사례를 고려할 때 국내 시장에서도 초기에는 제한적인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내다봤다.
KAMA는 BYD가 재작년 7월 일본 진출을 선언한 이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BYD는 ▷판매 네트워크 현지화 ▷유명 배우 광고 섭외 ▷자체 전기차 지원금 지급 등 다양한 판매 전략을 펼쳤지만, 일본에서의 승용차 판매량은 2년간 3천188대에 그쳤다.
올해는 3분기 누적 1천742대로 작년보다 96.6% 증가하긴 했지만, 판매 목표(2025년까지 연간 3만대)를 크게 밑돌았다.
이를 두고 KAMA는 BYD가 한국 시장에서도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완성차 강국으로 평가 받는 한국과 일본은 높은 자국산 차량 점유율과 낮은 전기차 비중, 중국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이 유사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의 수입 전기차 비중은 각각 9%, 2%에 불과하다.
KAMA는 "최근 신차 구입 의향자 인식 조사에서 중국 브랜드 전기차를 선택지로 고려한다는 응답은 9%에 불과했다"며 "중국산 전기차를 선호하지 않는 일본 소비자들의 성향도 국내 시장에서 유사하게 관측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BYD가 렌터카와 법인차 등 틈새시장을 노리고 젊은 소비자층을 공략한다면 국내 브랜드를 위협할 수 있다고 KAMA는 분석했다.
KAMA는 지커, 리프모터 등 중국 브랜드의 국내 진출 확대 가능성을 언급하며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 전기차 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을 강구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