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 심화로 반도체 수출 통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국내 2차전지 공급망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는 2차전지 음극재 핵심 원료인 흑연이 최종적으로 미국에 수출되는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 수출을 금지할 수 있다는 방침을 검토 중이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 3일 미국의 대중 반도체 추가 제재에 반발해 첨단 산업에 활용되는 자국의 광물 자원 수출 제한 카드를 내놨다.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광학장비 등 제조에 필수적인 희소금속의 대(對)미 수출을 금지한 것이다.
흑연의 경우 아직 수출이 제한된 것은 아니지만, 수출 허가를 할 때 더 엄격하게 최종 사용자와 용도를 검증하겠다는 입장이다. 수출 허가 신청이 들어올 때 사안을 더 면밀히 들여다보고 더 적극적으로 수출 금지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흑연 수출 통제 강화가 한국에 더 클 영향을 끼칠 것으로 의견이 지배적이다. 흑연은 2차전지 음극재 핵심 원료로 중국이 천연·인조 모두 세계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향후 실제로 특정 수출을 차단하는 사례가 나오게 되면 대체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대부분 중국 기업들에서 음극재를 조달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음극재를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탈중국' 2차전지 소재 공급망 구축을 주도하는 포스코퓨처엠 역시 인조흑연과 달리 천연흑연 제품 원료는 중국 협력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포스코그룹의 탈중국 음극재 공급망은 아프리카산 흑연 도입·가공 체계가 완결되는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을 고려해도, 향후 2년간 중국 흑연 의존도는 계속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2022년 기준 한국은 2억4천100만달러 상당의 이차전지 음극재용 인조흑연과 천연흑연을 수입했다. 이 중 93.7%를 중국에서 들여올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높다. 이런 상황은 일본 배터리 산업 역시 마찬가지다.
중국이 미국 기업을 특정해 흑연 수출은 금지할 경우, 이 기업을 최종 고객사로 둔 한국 기업이 한국에서 제조한 2차전지를 수출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미중 첨단 기술 경쟁으로 인한 중국의 대미 보복이 한국 기업을 거쳐 미국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프리카로 흑연 도입선을 다각화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지만 천연흑연 기반 음극재의 경우 중국 의존도가 아직은 절대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TK통합 여론조사…대구시민 68.5%·경북도민 62.8% '찬성'
"대구경북 행정통합 찬성" 시·도민 70% 육박 (종합)
대구 찾은 이재명 "TK 현안 해결 힘 보탤 것…공항 이전 등 정부 지원 없어 난항"
조국 "금투세 폐지에도 주식장 대폭락…이게 포퓰리즘"
'비상계엄' 국민 공감대 있었나…윤 대통령 책임론 대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