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교 비정규직 노조 6일 총파업 …대구시교육청, 상황실 운영·대체식 지급 예정

급식은 40개 학교, 돌봄 서비스는 4개 학교서 차질
"전체의 4%가량 참여할 듯…학생 피해 없도록 할 것"

학교 급식 조리실무원, 환경미화원, 경비원 등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대구지부가 파업에 돌입한 지난달 21일 대구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초등학생들이 빵, 우유, 계란 등 대체 급식으로 점심을 먹고 있다. 연합뉴스
학교 급식 조리실무원, 환경미화원, 경비원 등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대구지부가 파업에 돌입한 지난달 21일 대구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초등학생들이 빵, 우유, 계란 등 대체 급식으로 점심을 먹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 지역 학교 비정규직 노조원들이 저임금, 복리후생 차별 등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6일 총파업에 들어간다.

대구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대구학비연대회의)는 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전국여성노조 3개 노조로 이뤄진 조직으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과 매년 집단 임금교섭을 진행한다. 지난 10월 진행한 찬반투표 결과 조합원의 93.2%가 파업에 찬성했다.

이에 따라 40개 학교의 급식에 차질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돌봄 서비스도 4개 학교에서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대구시교육청은 노조 파업 대응 매뉴얼에 따라 급식, 돌봄 등 교육 현장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준비할 방침이다. 이틀간 본청·교육지원청·각급 학교에 파업 대책 상황실을 운영한다. 학교 급식의 경우 파업 참여 규모를 고려해 대체식(빵·우유), 도시락 지참 등 학교별 여건에 맞게 운영하고, 초등 돌봄은 내부 인력을 활용할 계획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대구 전체 비정규직 8천229명 중 4%가량인 332명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교육부와 교육지원청, 학교와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해 파업으로 학생들의 교육활동과 학부모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학비연대회의는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본급 정상화 ▷오래 일할수록 커지는 임금 격차 문제 해소 ▷복리 후생 수당 동일 기준 적용 ▷학교 비정규직 직무 가치에 따른 정당한 직무 가치 인정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체계 개편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날 파업은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