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의 충격파를 맞은 여권에서 "모든 것을 다 내려놓고 바꿔야 돌아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분출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임기 문제를 포함해 정국의 안정 방안을 당에 일임한 만큼 여권의 전면적인 쇄신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보수 대결집을 통해 국가 대혼란을 낳을 탄핵 시도를 지난 7일 막아낸 대구경북(TK) 정가에서도 '더 큰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속도감 있고 질서 있는 대통령의 퇴진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적지 않다. 일각에서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동반 퇴진 등 여권의 뼈를 깎는 전면적 혁신만이 민심을 돌릴 수 있다는 제언도 쇄도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7일 대국민담화에서 "저의 임기 문제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며 "향후 국정 운영은 우리 당과 정부가 함께 책임지고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여권은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 방법과 시기 등을 두고 당 안팎의 중지를 모으는 작업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여당 한 의원은 "탄핵과 헌법재판소 심판, 대선 일정을 밟을 때의 퇴진 시기보다는 훨씬 더 이른 로드맵을 제시해야 국민과 야권이 납득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정권 교체에 앞장섰던 TK 정가에서도 윤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이 불가피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다만 성급한 대통령 탄핵은 국정 혼란을 키울 수 있다는 이유로 7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에는 반대할 수밖에 없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실제 TK 지역구 의원 25명은 탄핵 반대 당론에 공감하며 한 명도 이탈하지 않고 단일 대오를 유지했다.
7, 8일 본지 취재에 응한 TK 의원들은 "윤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 시점이 늦어서는 안 되고 가급적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들을 내놨다.
임기 단축 개헌 등 개헌 논의와 관련해서는 필요성은 충분히 인정하지만 야당이 동의하지 않으면 진행이 어려워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수습의 주체로 한동훈 대표가 혼자 나서는 방식의 당대표 개인기 의존이 아니라 당 중진 의원 등 다양한 총의를 모아 해법을 찾아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컸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이런 사태가 오게 된 건 초보 대통령과 초보 당 대표 검사 둘이서 반목하다가 된 거 아니냐"면서 "더 혼란이 오기 전에 너도 사퇴하라"며 한 대표의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다.
TK 한 의원은 "대통령의 임기를 채우는 게 불가능하다는 데는 다 공감하고 있고 어떻게 하면 야당에 정권을 손쉽게 넘겨줘 견제와 균형이 파괴되는 것을 피할 수 있나 고민하고 있다"면서 "탄핵을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권이 진정성 있는 쇄신을 보여줘야 보수가 다시 일어설 수 있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8일 담화문을 통해 "윤 대통령은 남은 임기 동안 정상적인 국정 운영을 할 수 없으므로 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것이 국민 다수 판단"이라며 "질서 있는 대통령의 조기 퇴진"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 함께한 한덕수 총리는 별도 담화문에서 "국민의 뜻을 최우선에 두고 여당과 함께 지혜를 모아 모든 국가 기능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여당 대표와 국무총리의 '2인 국정 공동 운영' 방침을 밝힌 것으로 "이는 선거가 아닌 당원 투표로 뽑힌 '비선출 소수 여당 대표'가 임의로 국가권력을 행사하겠다고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이라는 논란과 함께 야당 등으로부터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