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의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를 마주한 대구경북(TK)의원들은 허탈함 속에서도 여당 의원 108명이 힘을 모아 탄핵을 막고 정국 수습책을 찾아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빠른 변화 없이는 민심 회복이 어렵기에 속도감 있는 대통령 퇴진과 당 지도부 쇄신이 필요하고, 거국 내각이나 개헌카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인식을 내비쳤다.
TK의원들은 7,8일 매일신문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탄핵 반대'를 이구동성으로 외쳤다. 입법 폭거를 자행해 온 거대 야당에게 정권을 넘겨서는 안된다는 의지가 투영된 것으로, 그러면서도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 시점은 빨라야 한다는 데 중지가 모였다.
A 의원은 "탄핵은 곧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집권으로 이어진다는 우려가 의원들 사이에서 상당하다. 거대 야당이 의회권력까지 장악한 상황에서 이들이 집권하면 대한민국에 미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겪었던 TK 유권자들은 탄핵 반복은 안 된다는 요구가 많다. 윤 대통령은 당연히 퇴진해야 하지만 성급한 탄핵은 반대"라고 했다.
B 의원은 "대통령의 비상계엄은 너무나 잘못됐음에도, 탄핵 시 더 큰 혼란이 뻔해 반대한 것"이라면서 "이제 '질서 있는 퇴진' 시점을 두고 당내 총의를 모아야 한다. 탄핵 절차를 밟았을 때보다 '질서 있는 퇴진'을 통한 대선 시점이 빨라야만 야권과 대화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 의원 역시 "구체적으로 말하진 어렵지만 퇴진 시점은 빠르게 가져가야 한다. 어제 탄핵안 부결로 인해 수많은 국민들께서 느끼는 실망감도 고려해야 정국 수습이 가능할 것"이라며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
야당이 받을 가능성이 희박한 거국내각이나 개헌카드는 현실성이 없고 국민 피로감만 가중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D 의원은 "대통령제 폐해를 목도하는 시점에서 이제는 개헌을 검토해야 한다"면서도 "민주당이 받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게 문제"라고 했다.
E 의원도 "탄핵에 사활을 건 야당이 거국내각이나 개헌 카드를 받을 리가 없다"면서 논의가 무의미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꼬일대로 꼬인 정국을 풀어나가려면 당내 지도부의 과감한 쇄신을 비롯해 당이 하나로 뭉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F 의원은 "탄핵 위기를 마주한 상황에서 당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는 일단 사의를 먼저 표명해야 순리가 아닌가 한다. 원내대표처럼 우선 사의를 밝히고 사태 수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보이는 게 당 단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G 의원은 "당 대표와 중진들이 뜻을 모아 정국을 수습해 나가야 한다. 단일대오로 뭉쳐야 하고, 개개인이 섣부르게 나서 혼란을 일으켜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H 의원은 "탄핵 저지에 필요한 100명 선이 안 깨지는 게 중요하다. 그걸 가능하게 할 정도의 국정 쇄신책과 조기퇴진 로드맵이 속히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