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계엄군이 정치인 등 주요 인사를 체포·구금하려고 실제 시도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이와 관련 체포·구금 명령을 내린 군 책임자 등 지휘 라인과 지시 내용 등 진상이 속속 드러나면서 비상계엄 사태 책임을 추궁하는 야당의 공세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김대우 국군 방첩사령부 수사단장(해군 준장)은 10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 참석, 여인형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정치인 등 주요 인사에 대한 체포·구금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김 단장은 "구금 시설 및 체포와 관련된 지시는 제가 여 사령관으로부터 직접 받았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구금시설에 대해서는 "처음 지시받기로는 'B1 벙커' 안에 구금할 수 있는 시설이 있는지 확인하라고 지시받았다"고 언급했다. B1 벙커는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관할 지휘통제 벙커로, 유사시 우리 군의 실질적인 전쟁 지휘부 역할을 맡는 군사상 핵심 시설이다.
여 사령관이 주요 인사에 대한 체포 및 구금 지시를 내렸다는 증언이 방첩사 내부에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는 국가정보원 홍장원 1차장이 12·3 비상계엄 당일 여 사령관이 자신에게 체포 대상자 명단을 불러주며 검거를 위한 위치 추적을 요청했다고 폭로한 바 있다.
홍 1차장에 따르면 체포 대상자 명단은 우원식 국회의장,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박찬대 원내대표·김민석 수석최고위원·정청래 법제사법위원장,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유튜버 김어준 씨, 김명수 전 대법원장, 권순일 전 대법관 등이라고 답했다.
한편, 여 전 사령관은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때 중앙선관위 서버를 확보하라는 명령도 내렸다는 증언이 나왔다.
정성우 방첩사 1처장은 10일 국회 국방위 현안질의에 출석해 여 전 사령관으로부터 비상계엄 선포 때 경기도 과천 소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내 전산실 서버의 복사 및 확보를 구두로 지시받았다고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같은 충암고 출신으로 이번 사태의 핵심 인물로 꼽힌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10일 서울중앙지검으로 여 전 사령관을 불러 조사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