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국내 수입 상용차 중 중국산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최고치로 내년 BYD(비야디) 등 중국 브랜드가 진출하게 되면 국내 시장 점유율은 더욱 높아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에서 등록된 수입 상용차(버스·트럭·밴·특장차 등)는 총 659대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산 상용차는 358대로 54.3%를 차지했다. 수입 상용차 10대 가운데 5대 이상이 중국산인 셈이다. 이는 올해 들어 월간 상용차 전체 등록 대수 중 최고 기록이다.
올해 들어 11월까지 중국산 상용차는 전체 차량 대수 가운데 41.6%(2천723대)를 차지했다. 중국 수입 상용차 브랜드는 전체 수입차 '톱10' 중 BYD(1위) 필두로 지리(3위), 신위안(4위), 하이거버스(8위), 동풍소콘(10위) 등 5개 브랜드를 포함시켰다.
국내에서 중국산 상용차 점유율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6.2%(296대) ▷2021년 9.9%(569대) ▷2022년 29.0%(2천276대) ▷2023년 47.5%(4천215대)로 집계됐다. 4년 만에 41.4%포인트(p)가 증가했다.
중국산 상용차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다 무난한 성능을 무기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소상공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상용차는 디자인과 기능이 중시되는 승용차와 달리 가격 민감도가 높다. 또 성능에서 큰 차이가 없으면 저렴할수록 인기가 높다.
일례로 지리의 1t 화물 밴 쎄아는 국내에서 보조금을 받으면 1천500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다.
또 내년이면 전 세계 전기차 1위 브랜드 BYD가 국내 승용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어 우려가 커진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전기차 브랜드를 앞세워 국내 상용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승용시장 진출 전략을 짤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