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동걸린 대왕고래 프로젝트…석유공사 채권 발행할까

해외 투자금 유치 등 특단 대책 절실
석유공사 자체 예산 충당 계획…사업 끌어갈 여력 부족

9일 오전 부산 남외항에 동해심해 가스전 유망구조에 석유·가스가 묻혀 있는지를 확인할 시추선
9일 오전 부산 남외항에 동해심해 가스전 유망구조에 석유·가스가 묻혀 있는지를 확인할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가 입항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웨스트 카펠라호는 보급기지인 부산신항으로부터 7∼8일간 시추에 필요한 자재들을 선적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대왕고래 프로젝트(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예산이 정부 요구안보다 무려 98% 삭감된 채 지난 10일 국회 본회의에서 확정되며 향후 사업 추진에 안개가 끼고 있다.

사업주체인 한국석유공사는 당장의 급한 불을 자체 예산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이지만, 추후 사업 유지를 위해서는 해외 투자 유치나 채권 발행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회는 지난 10일 산업통상자원부의 2025년 예산을 정부 요구안보다 675억원 삭감된 11조4천336억원으로 확정했다.

삭감된 예산에서 가장 큰 부분은 이른바 대왕고래 프로젝트인 동해 심해가스전 8광구·6-1북부 광구 탐사시추 497억원이다.

오는 17일부터 시작될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시추탐사에는 약 1천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를 정부 50%, 한국석유공사 50%씩 각각 부담한다.

총 5차례가 진행될 시추탐사 작업이 시작부터 삐걱대고 있어 차후 예산 확보도 장담할 수 없게된 셈이다.

이미 시추선 계약 등이 완료된 탓에 한국석유공사는 이번 1차 시추탐사의 나머지 예산도 자체적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다만, 이로 인해 한국석유공사가 내년도에 계획하고 있는 탄소포집저장 사업, 전략비축유 확보 등 기타 사업 역시 부족해지는 예산분만큼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지속 추진을 위해 추가경정안을 통한 예산 확보를 비롯해 해외 투자 유치 및 채권 발행 등 여러가지 대책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산업부와 한국석유공사는 프로젝트 시작단계부터 1차 시추탐사를 진행한 후 성공 가능성에 따라 해외투자를 유치하는 방안을 구상한 바 있다.

그러나 당장의 예산 확보가 시급해진 상황에서 조금 이른 해외 투자 유치 시도와 채권 발행을 통한 추가 재원 마련이 시급해 졌다.

하지만, 채권 발행의 경우 현재 한국석유공사가 지난 2020년 부채가 자본을 넘어서는 자본 잠식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 2022년부터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조금씩 상황이 나아지고 있지만, 채권을 통해 소위 '빚'을 더 내게 되는 상황은 달갑지 않은 탓이다.

한국석유공사 관계자는 "국회 본회의를 통해 예산을 어느 정도 더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지만, 전액 삭감안이 통과돼 당혹스럽다"면서도 "아직 두번째 계획을 얘기할 단계는 아니라고 본다"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