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오는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2차 표결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진퇴양난에 빠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탄핵안 가결, 부결 모두 한 대표에 대한 공격 재료로 쓰일 수 있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앞서 국민의힘 당내 공식 논의기구인 정국안정화 태스크포스(TF)가 제시한 윤 대통령 퇴진 방안은 탄핵 대신 '2월 하야, 4월 대선', '3월 하야, 5월 대선' 등 2가지다.
다만 이 안은 법적으로 대통령의 직무정지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한 해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하야하기까지 군 통수권이나 거부권 등 대통령 고유권한 행사에 대한 논란 역시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야당이 탄핵 이외의 선택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상황에서 추진 동력 역시 불분명하다. 관철되지 못할 경우 그동안 정국 수습을 주도한 한 대표로서는 책임론이 불가피하다.
그렇다고 탄핵이 가결되는 상황 역시 한 대표 입장에서는 부담스럽다. '질서 있는 퇴진'이란 당론을 정해 놓고도 탄핵을 못 막은 당 대표라는 꼬리표와 함께 사퇴론이 거세게 일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1일까지 여당에서 탄핵표결 참여, 혹은 탄핵 찬성 입장을 밝힌 의원은 이미 안철수, 김예지, 조경태, 김상옥, 김재섭 의원 등 5명에 이른다. 3명만 더 합류해도 탄핵안 가결이 가능하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탄핵 불가를 주장했던 한 대표는 최근 며칠 사이에는 관련 입장을 내지 않은 채 장고에 들어간 듯한 모습이다. 친한계 의원들이 잇따라 표결 참여를 선언하고 있는 것도 이런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설상가상으로 일각에서는 친윤계 일부가 한동훈 지도부 붕괴를 구상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까지 제기되는 실정이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선출직 최고위원 4명이 사퇴하면 비대위 체제로 전환된다. 현재 친윤계인 인요한, 김재원, 김민전 최고위원이 사퇴하고, 지난 탄핵안 표결 전 최고위원 직을 걸고 탄핵 반대를 주장했던 장동혁 최고위원까지 사퇴하면 4명이 채워진다. 탄핵안 가결 후 장 최고위원이 사퇴를 선언할 경우 친윤계의 판단에 따라 한동훈 지도부가 무너질 수 있는 구도다.
이와 관련, 장동혁 최고위원이 최근 윤 대통령 탄핵에 극렬히 반대하면서 한 대표와 공개적으로 충돌했다는 설도 흘러나온다. 장 최고위원은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 시 최고위원직을 사퇴하겠다고 공언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다만 이 같은 시나리오가 억측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11일 YTN에 출연해 "최고위원들 중 한동훈 대표 끌어내리기 위해서 사퇴하겠다고 얘기한 사람이 없다"며 "당내 일부 분들이 이런 정제되지 않은 주장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