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 탄핵·내란죄 수사 35만, 국민의힘 해산 25만 돌파…국회청원 동의수 1~4위 '계엄사태' 관련

11일 오후 9시 기준 국회청원(국회 국민동의청원) 웹사이트 청원 동의수 순위
11일 오후 9시 기준 국회청원(국회 국민동의청원) 웹사이트 청원 동의수 순위

11일 오후 9시 기준으로 '비상계엄 선포' 사태를 저지른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과 내란죄 수사를 촉구하는 국회청원(국민동의청원)이 동의수 35만여를 기록 중이다.

또 일부 의원이 내란 혐의 피의자가 됐고 특히 지난 7일 국회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불참한 여당 국민의힘의 해산을 요구하는 청원도 같은 시각 동의수 25만을 넘겼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3일 밤)가 국회 해제 의결(4일 새벽)로 일단락이 된 4일 등록된 '대통령 윤석열 탄핵소추와 내란죄 수사를 위한 특검법 제정 촉구에 관한 청원'에는 11일 오후 9시 기준 35만1천789명이 참여했다.

또 9일 등록된 '헌법과 법률을 유린한 국민의힘 정당 해산에 관한 청원'엔 같은 시각 25만3천215명이 참여했다.

국회행 요건인 동의수 5만을 넘긴 두 청원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가 국회 본회의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11일 오후 9시 기준 국회청원(국회 국민동의청원) 웹사이트 청원 동의수 순위
11일 오후 9시 기준 국회청원(국회 국민동의청원) 웹사이트 청원 동의수 순위

두 청원을 포함해 현재 국회청원 동의수 상위 4건의 청원이 모두 이번 사태 관련이다.

'전두환을 찬양하는 공원 폐지 및 관련 법률 제정 요청에 관한 청원'이 현재 9만6천981명 동의수를 보이고 있는데, 11월 15일 등록된 이 청원은 30일 청원 기간 막바지였던 12월 3일 계엄 사태가 터지자 동의가 몰렸다.

1979년 12월 12일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켰고 이후 법정에서 내란죄 등으로 1심 사형 및 2심 무기징역 선고를 받았던 전두환 전 대통령을 기리는 경남 합천군 소재 일해공원을 폐지해달라는 내용인데, 이번 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 역시 내란죄로 입건되는 등 닮은꼴 대통령의 모습을 보이며 연결고리로 일해공원 폐지 청원에도 관심이 향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국민의힘 해산을 요청하는 청원이 같은날(12월 9일) 하나 더 올라와 현재 4번째로 많은 동의수를 보이고 있다. '헌법 수호를 위한 국민의힘 위헌정당 해산심판 요청에 관한 청원'으로, 현재 동의수 8만4천758명을 모아 역시 국회행 요건을 충족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