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사죄를 요구하자 한덕수 국무총리 등 국무위원들이 기립해 고개를 숙인 가운데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끝내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은 모습이 포착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11일 여야는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한 긴급 현안질문을 가져 이 자리에 참석한 국무위원들에 책임을 추궁했다.
이날 첫 질문자로 나선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 국무총리 등 국무위원들을 향해 계엄을 막지 못한 것을 반성해야 한다며 자리에서 일어나 사과해야한다고 요구했다.
서 의원은 "총리라는 이름으로 윤석열을 감쌌다"며 "국민께 허리를 90도로 굽혀 사죄해라"고 했고, 이에 한 총리는 "필요하다면 그렇게 하겠다"며 허리를 숙였다.
이후 서 의원은 한 총리를 향해 '다른 국무위원들에게도 일어나 사과할 것을 제안하라'고 요청했고 이에 한 총리는 자신이 국무위원을 대표해 사죄한 것으로 양해달라며 두 차례 더 고개를 숙였지만 서 의원은 거듭 국무위원들이 일어나 사과할 것으로 요구했다.
이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인촌 문화체육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등 국회에 출석한 대부분의 국무위원은 자리에서 일어나 허리를 굽혀 사과했다.
이어 서 의원이 재차 사과를 요구하자 인사 후 착석했던 박성재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그 자리에서 다시 한번 일어났고 한 총리도 네 번째로 고개를 숙였다.
최 부총리, 이주호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사과 이후에도 우원식 국회의장이 앉으라고 하기 전까지 착석하지 않고 서 있었다.
하지만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끝까지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고 자리에 앉아 있던 장면이 포착됐다.
이에 일부 국회의원은 김 장관의 이름을 부르며 항의하기도 했다.
김 장관은 윤건영 민주당 의원이 "이번 윤석열 씨의 비상계엄 발표에 찬성하느냐"고 묻자 "저는 찬성하지 않는다.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탄핵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는 "탄핵은 제가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전 열린 국무회의에는 "연락을 못 받아 참석하지 못했다"고 밝혔고, 비상계엄을 해제하기 위해 열린 국무회의에는 참석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5일에는 기자들과 만나 비상계엄에 대해 "뉴스를 보고 알았다"며 위헌·위법성 여부에 대해선 "판단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