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 이후 한국의 대외신인도가 하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무디스, 피치 등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견고하고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13일 기획재정부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마리 디론 무디스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 제임스 롱스돈 피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총괄 등 글로벌 주요 신용평가사 등 글로벌 주요 신용평가사 고위급 인사들과 각각 면담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면담에서 "헌법, 시장경제, 위기관리 등 한국의 모든 국가시스템은 종전과 다름없이 정상 운영되고 있다"면서 "과거에도 두 차례 탄핵으로 인한 혼란이 있었으나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야당이 제안한 여야정 경제협의체에 정부가 적극 참여할 예정"이라면서 "앞으로도 경제 문제와 관련해서는 국회와의 원활한 소통과 협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글로벌 신용평가사 3사는 "최근의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여전히 안정적"이라고 했다. 이들은 또 "이번 사건을 통해 오히려 한국의 제도적 강인함과 회복력을 체감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S&P 측은 "최근 사태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가시스템이 잘 작동했다는 점이 신용평가사에게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며 "사태 직후 이뤄진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금융당국의 신속한 시장 안정화 조치는 한국의 경제시스템이 얼마나 강건한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무디스에서는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노력은 신용 평가에 매우 유용하게 작용할 것"이라며 "최근 상황을 감안했을 때 한국 경제에 대한 하방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없다는데 공감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견고한 법치주의가 높은 국가신용등급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피치 측 역시 "과거 대통령 탄핵시에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는 문제가 없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번 사태 또한 마찬가지로 한국의 신용등급을 위협할 수준은 아니다"며 "한국 정부가 이번 사태에 대해 투명하게 설명하고자 노력하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했다.
또 최 부총리는 "외국인 투자자 등 모든 경제주체들이 평상시와 같이 안정적인 투자·경영활동을 해나가는데 문제가 없도록 할 것"이라며 "반도체·인공지능(AI) 인프라 확충방안, 조선·항공·해운 경쟁력 제고방안, 석유화학산업 지원방안 등 한국 경제를 한 단계 도약시키기 위한 노력도 여전히 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나타나고 있는 글로벌 통상 질서 변화에 적의 대응하고, 한국의 잠재 성장 동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외국투자자의 신뢰와 대인신인도를 높이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며 "한국 경제에 대한 관심과 신뢰를 계속 이어가 달라"고 당부했다.
이들 3대 신용평가사는 2010년대 이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렸고, 이를 현재까지 유지 중이다. 무디스와 S&P는 각각 'Aa2', 'AA'를, 피치는 'AA-'를 부여하고 있으며 등급전망은 모두 '안정적'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