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얼굴 동성로 위상이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대구시가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등 상권 살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여전히 공실이 즐비하다. 최근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기폭제로 불리는 옛 중앙파출소 부지를 대구시가 확보하는 등 호재가 다양하지만, 백화점과 호텔 시설 등 일부 대형 건물들이 사실상 방치되면서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5일 한국부동산원 등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동성로 지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9.82%로 집계됐다. 이는 대구 동성로는 중앙파출소가 있을 당시(2018년 2분기 기준) 동성로 지역 중대형 상가 공실률(10.25%)의 두배 수준이다.
이후 2020년 2분기(11.61%)로 10% 초반대를 유지했기만, 코로나19 여파로 경기가 침체하면서 16.17%까지 치솟았고, 2020년 4분기에는 18.12%를 기록했다. 이후 2023년 2분기(20.90%)를 20%대를 넘어서는 등 고공행진 중이다.
대구시는 이같은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대구시는 6년 전 이전한 대구 중구 옛 중앙파출소 부지 소유권을 지난 23일 편입했다. 중앙파출소는 44년간 일명 '중파'로 불리며 동성로의 만남의 광장으로 불려 온 곳이다.
앞서 지난 7월 대구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의해 동성로 일대를 관광특구로 지정·고시했다. 또 8월에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4년 지역특성 살리기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시는 국비와 시비를 포함한 사업비 총 35억원을 투입해 옛 중앙파출소 건물을 신축하고 젊음의 버스킹 광장, 특화 골목 조성 등을 통해 동성로 일대를 젊음의 거리로 탈바꿈한다.
이처럼 각종 대형 건물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어 각종 호재에도 불구하고 우려가 깊은 상황이다.
안성익 영남대 경영학과 교수는 "동성로 지역 주 소비계층인 젊은 사람들의 주체로 대구 동성로 랜드마크의 변화상을 대구시와 함께 고민에 나서야 한다"며 "대구 중구 교동의 사례도 살펴보면 젊은 사람들의 주체로 상권이 성공한 사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후 서울, 수도권 등에서 차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들을 연결하는 패키지를 만드는 등 대구만의 특징을 잘 알려야 한다"며 "과거와 동일한 방법으로는 과거의 위상을 되찾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