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류 충돌 후 한쪽 엔진 고장" "모든 엔진에서 결함 가능성"

[제주항공 여객기 대참사] 국토부 "관제탑 조류 충돌 경고 6분 뒤 사고"
블랙박스 확보 랜딩기어 미작동 직접적 원인, 전체 안 내려온 것 매우 드물어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공항 활주로에 동체 착륙 뒤 공항 벽면에 충돌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를 조사하고 있는 국토교통부는 이날 사고 관련 브리핑에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공항 활주로에 동체 착륙 뒤 공항 벽면에 충돌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를 조사하고 있는 국토교통부는 이날 사고 관련 브리핑에서 "관제탑에서 제주항공 사고 여객기에 '조류 충돌' 주의"를 전달했다"라며, "해당 항공기 조종사가 메이데이를 선언한 뒤 대략 2분 후 사고"가 났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사고 항공기가 착륙 전 무안 공항 접근 당시 오른쪽 엔진에서 이상 화염이 나오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사고가 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직전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 주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토대로 조류 충돌에 따른 기체 고장 가능성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모든 엔진에서 고장 정황이 확인된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사고원인을 두고 갑론을박이 오가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브리핑을 맡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에 따르면 무안공항 관제탑은 이날 오전 8시 57분에 사고 여객기에 조류 활동(조류 충돌)을 경고했다. 이어 1분 후인 8시 58분 사고기 기장이 메이데이 신호를 보냈다.

이후 사고기는 오전 9시 당초 착륙할 예정이었던 01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를 통해 착륙을 시도했다. 이후 3분 후인 9시 3분에는 랜딩기어를 내리지 않은 채로 이 활주로에 착륙하다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은 점이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 됐다는 점에는 대부분 동의했다.

의견 엇갈리는 지점은 랜딩기어의 미작동 원인이다. 조류 충돌이 비행기의 엔진, 유압장치에 문제를 일으킨 탓이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이와 무관하게 모든 엔진에서 결함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김규왕 한서대 비행교육원장은 "갈매기 등 새들이 엔진으로 들어가면 엔진도 망가지고, 거기에 연결된 유압시스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유압 시스템이 이착륙할 때 랜딩기어를 올리고 내리는데 그 부분이 망가졌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는 "뒤쪽 랜딩 기어들도 다 내려오지 않아 동체로 내려온 것"이라며 "동체 착륙을 하면 날개 등으로 항력을 더 키워 속도를 줄여야 했는데 영상으로는 그런 것이 잘 안 보인다"고 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조류 충돌에 따른 한쪽 엔진 고장만으로는 이러한 대형참사가 벌어지기 어렵다며 사고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인규 한국항공대 비행교육원장은 "원인은 분석해봐야 알겠지만 애초에 랜딩기어 3개가 모두 안 나온 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다. 조류 충돌만으로 일어났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며 "기체결함 여부도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사고기의 두 가지 블랙박스 중 비행기록장치의 수거를 마쳤다고 밝혔다. 나머지 음성기록장치는 현장 상황에 따라 추가 확보를 시도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세부적인 사고 상황과 원인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