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 해 국내 완성차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HEV)가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면서 친환경차 판매량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반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전기차(EV) 판매는 20% 급감했다.
5일 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자동차·KG모빌리티(KGM) 등 국내 완성차 5개사 실적을 취합한 결과,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은 45만194대로 조사됐다. 친환경차는 HEV, EV,수소전기차(FCEV)로 구성된다. 지난해(40만5천331대) 대비 11.1% 늘어난 규모로 역대 최대 판매량이다.
이 가운데 하이브리드차가 지난해보다 24.9% 늘어난 35만6천58대가 팔렸고, 전체 친환경차 판매 비중 88%를 차지하며 시장을 이끌었다.
전기차 판매는 지난해 9만1천385대를 기록했다. 이는 직전년(11만5천900대) 대비 21.2% 감소한 규모다.
수소차도 2천751대가 팔려 2023년(4천328대) 대비 36.4% 줄었다.
90%의 내수 판매 비중을 차지하는 현대차·기아도 2024년 친환경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5.8% 증가한 42만3천59대로 집계됐다. 사상 첫 40만대 돌파 기록이다.
특히 하이브리드차가 18.2% 증가해 33만5천105대가 팔렸다. 사상 첫 30만대 판매를 기록했다.
전기차의 경우 23.9% 감소한 8만5천203대로 감소했다. 수소차는 36.4% 감소한 2천751대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경유차는 전년 대비 절반 넘게 판매량이 줄며 사상 처음으로 비중이 10% 미만을 기록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시장에서 신규로 등록된 경유차(수입차·상용차)는 총 14만3천134대이다.
이는 전년(30만8천708대) 대비 절반 이상 감소한 규모다. 역대 최저치다.
비중도 처음으로 8.7%를 기록하며 한 자릿수에 들어섰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부진에도 대안으로 떠오른 하이브리드차 인기가 급증하면서 친환경 차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며 "경유차 퇴출 속도도 빨라지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