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황영은] 기웃거리는 오후

황영은 소설가

황영은 소설가
황영은 소설가

어릴 때부터 이리저리 기웃거리는 걸 좋아했다. 비 온 뒤 살짝 불어난 강가에서 물풀들의 살랑거리는 춤을 지켜보는 일, 머리까지 올라오는 코스모스 빼곡한 들판을 미로처럼 뚫어 아지트를 건설하는 일, 한겨울 새하얗게 눈 쌓인 뒤꼍에서 할아버지가 묻어놓은 무 배추 구덩이 속을 헤집어 보는 일. 시골에서 나고 자랐던 내 주변에는 온통 궁금하고 재밌는 것투성이여서 잠시도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심지어 어느 가을날, 동화 속에서 보았던 소년의 모험을 따라 해 보겠다고 비상식량으로 고구마와 땅콩을 싼 보따리를 긴 작대기 끝에 묶고는 어깨에 척 걸쳐 맨 채 골목을 나서기도 했으니.

나의 이런 기웃거림을 알아채는 사람은 잘 없었다. 아이들이 밤낮으로 쏘다니며 놀아도 부모가 요란스레 말리지 않던 시절이었고, 언니와 남동생은 나와는 판이하게 방안에서 책이나 비디오를 보며 노는 걸 더 좋아했으므로 그런 행적을 눈치채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니 대학 입시를 준비해야 하는 고등학교 교실은 나에게 안성맞춤인 감옥이었다. 이리 기웃, 저리 기웃대는 게 삶의 이유이자 낙이었던 나는 시름시름 앓다가 편도염, 방광염에 위장병까지 걸리고 말았다. 임시방편으로 항생제와 한약을 지어 먹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었다. 이가 없어서 잇몸으로 콱 무는 방법은 책이었다. 친구들이 옆에서 수학 공식과 영어 단어를 욀 때 나는 소설책만 읽었다.

시간이 흘러 인생의 한낮에서 오후로 막 방향을 틀었다. 어른이 되었다고 결코 천성이 바뀌지 않는다는 걸 알아차린 순간은, 버스를 타고 다니던 첫 직장에 기어코 걸어가려고 두 시간 일찍 나서던 때부터였다. 버스 노선을 따라 걷다 보면 노파들이 줄줄이 앉아서 깔아놓은 바구니에 푸성귀가 소복이 담겨 있었다. 시금치에서 방풍나물로, 참비름에서 고들빼기로 스리슬쩍 넘어가는 바구니 속의 풀들을 보는 일이 그렇게 재밌을 수 없었다. 때로는 구부러지다 못해 거의 잘려 나간 보도블록 비둘기들의 발가락에 우뚝 멈추기도 했고, 아는 척 한번 해줬다고 한사코 따라오는 길고양이에게 소시지를 사 먹이다가 지각하기도 했다.

규칙적이지 않은 길들을 넋 놓고 걷다 보면 자연히 크고 작은 변수를 맞닥뜨리기도 한다. 개중, 넘어지거나 다치는 일은 좀 난감했다. 작년에도 자주 기웃거리던 뒷산 언덕의 산초나무 잎을 뜯으려다가 발목 인대를 다치는 바람에 몇 개월 동안 고생했다. 기웃거릴 수 없어서 아팠던 어린 시절이나, 맘껏 기웃거릴 수 있지만 오후로 접어든 나의 몸은 여전히 고달프다.

한낱 방황이라 치부한다 해도 이제는 잘 알고 있다. 이 기웃거림이 세상과 소통하는 나만의 방식이었다는 걸. 직업병처럼 소설의 소재를 만들어오는 유익하고 깨알 같은 재미라는 사실을 말이다. 그래서 여전히 기웃거릴 나의 오후가 조금은 기대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