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전망치를 하회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이 6조5천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30.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이는 직전 3분기와 비교하면 영업이익은 29.19% 감소한 수치다. 특히 증권가 컨센서스(전망치 평균) 7조7천96억원을 15.7% 밑돌았다. 당초 작년 4분기 영업이익으로 10조원 안팎까지 컨센서스가 상승했지만 최근 7조원대까지 낮춰 잡았고 낮아진 시장 눈높이에도 미치지 못한 셈이다.
이번 실적 부진은 스마트폰, PC 등 IT 수요 침체가 예상보다 깊어지면서 범용 메모리의 수익성 악화가 길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부인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실적에 대해 "IT향 제품 중심의 업황 악화로 매출 및 이익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공급 과잉으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가파르게 하락하는 가운데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으로 메모리 출하량과 판매 가격(ASP)이 예상보다 부진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인공지능(AI) 열풍에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는 견조하지만 삼성전자의 HBM 양산 일정이 지연되면서 아직 HBM의 실적 기여도가 낮은 상황이다.
또 시스템LSI(설계)와 파운드리를 포함하는 비메모리 부문도 가동률 하락과 일회성 비용 반영 등으로 적자를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바일, TV, 가전 등을 아우르는 디바이스경험(DX)부문 실적 역시 올해 초 모바일 신제품 출시 전 구매 감소 및 업계 경쟁심화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부문별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하는 DS부문이 3조원 안팎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의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은 32조7천300억원으로 전년보다 398.1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연간 매출은 300조8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89% 늘면서 2022년(302조2천314억원) 이후 2년 만에 300조원대를 회복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
직무 복귀 vs 조기 대선…4월 4일은 尹대통령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