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노인들이 많은데도 가난한 노인들이 많은 나라. 우리나라 이야기다. 모순형용(矛盾形容)처럼 들린다. 그러나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한국 노인의 실상이 한눈에 들어온다.
OECD가 2022년을 기준으로 조사한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37.3%로 1위를 기록했다. 아이슬란드(32.6%), 일본(25.6%) 등이 우리 뒤를 이었다. 동시에 2020년 기준 한국의 노인 빈곤율(貧困率)은 40.4%로 OECD 국가 중 1위다. 특히 65~74세의 빈곤율(31.4%)보다 75세 이상의 빈곤율(52.0%)이 훨씬 높다.
젊은 시절의 가난은 노년의 극빈(極貧)으로 이어진다. 모은 재산이 없고 연금 제도는 취약하니, 늙어서도 일을 놓을 수 없다. 한국고용정보원 통계(2023년)를 보면, '계속근로'를 희망하는 65~79세의 비율은 55.7%다. 노인들의 일자리는 불안정하고 저임금이다. 아파트 경비원 자리라도 차지하면 행운(幸運)이다. 정부가 제공하는 노인 일자리 월수입은 29만~76만원이라는데, 그마저도 취업문이 좁다.
은퇴 후 받는 연금은 생계를 보장하지 못한다. 2020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의 소득 중 공적이전소득(연금소득)은 30%다. 이는 OECD 평균(57.3%)의 절반 수준이다. 우리나라 연금이 선진국보다 빈약(貧弱)한 것은 제도 도입이 늦었기 때문이다. 주요 국가들은 20세기 초반에 연금제도를 도입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은 1988년에 도입됐고, 1999년 이후 전 국민 대상으로 확대됐다. 현재 75세 이상인 노인들은 노령연금 최소 가입 기간(10년)을 채우기 어려웠다. 연금을 받는다고 해도 65세 이상 연금 수급액(2022년 기준)은 월평균 65만원이다. 국민연금연구원이 추정한 노후 최소 생활비(개인 124만3천원)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100세 시대'는 축복일까. 황혼(黃昏)에 건강하게 소일거리를 하는 삶은 행복하다. 죽을 때까지 밥벌이를 해야 하는 삶은 짠하다. 굴러 내려오는 바위를 끝없이 산 위로 밀어 올려야 하는 시시포스의 형벌 같다. 정호승 시인의 시, '술 한잔'이 위로가 되려나. "빈 호주머니를 털털 털어/ 나는 몇 번이나 인생에게 술을 사주었으나/ 인생은 나를 위해 단 한 번도/ 술 한잔 사주지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딱풀 공문" 공수처 관저 출입 공문 위조 의혹…공수처 "위조 NO"
권영세 "尹 체포, 대한민국 법치주의 흑역사로 기록될 것"
"나훈아 78세, 비열한 노인"…문화평론가 김갑수, 작심 비판
"중국 공산당 100주년 행사에 왜 민주당 기가 있죠?"
尹 "부정선거 있다" 주장에…선관위 "수용 어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