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내수 경기가 차갑게 식은 가운데 청년층 고용지표도 악화일로다. 지난달 일을 하지도 구직활동을 하지도 않고 그냥 쉰 청년이 1년 전보다 12% 이상 늘어난 것. 여기에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도 빠르게 늘어나는 등 어렵게 일자리를 구한 청년의 상황도 녹록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15~29세) '쉬었음' 인구는 41만1천명이었다. 36만6천명이었던 1년 전과 비교하면 12.3% 늘었다. 같은 기간 청년층 전체 인구가 830만6천명에서 805만5천명으로 3.0%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더욱 눈에 띄는 증가 폭이다. '쉬었음' 인구는 뚜렷한 이유 없이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를 뜻한다.
12월 기준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년 48만5천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 그리고 2021년 40만9천명, 2022년 40만6천명, 2023년 36만6천명으로 매년 감소하다가 지난해 4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월별로 보면,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지난해 5월부터 8개월 연속 전년 대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6월 이후로는 매월 증가율도 10%를 넘어선다. 연간 지표로 봐도 청년층 쉬었음은 지난해 42만1천명을 기록해 1년 전보다 2만1천명 늘었다. 2020년(44만8천명) 이후 최대치다.
청년층 실업자 역시 12월 기준 전년보다 2천명 늘어났다. 실업률 또한 2023년 5.5%에서 지난해 5.9%로 0.4%포인트(p) 상승했다.
코로나19 기저효과에 힘입은 '고용 훈풍'이 사라지고, 경기 회복세도 예상보다 더디게 나타나면서 청년 고용 지표가 빠르게 악화하는 흐름이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한파 등 내수 악재 요인이 겹치면서 '연말 특수'가 사라진 것도 12월 고용 지표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어렵게 일자리를 구한 청년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지난해 12월 기준 청년층의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 수는 13만3천명이었다. 9만7천명이었던 1년 전과 비교하면 37.4%(3만6천명) 급증했다. 코로나19 유행기인 2020년(65.4%) 이후 첫 증가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통계상으로는 취업자로 잡히지만, 임시 또는 단기일자리가 많아 '불완전 취업자'로 불린다.
정규직 등 양질의 일자리가 한정된 상황에서 취업에 실패하거나 구직 기간이 길어지는 청년이 생계 등을 이유로 단시간 일자리에 뛰어드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실제로 지난달 15세 이상 전체 취업자 수는 1년 전에 비해 5만2천명 줄며, 2021년 2월 이후 3년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관련 기사 46개월 만 취업률 하락 전환…실업률은 4년 내 최고)했다. 경제가 역성장하지 않는 한 취업자 수 감소는 매우 드문 현상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 위축이 내수 업종 취업자 수가 크게 감소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소준섭 판사, 출퇴근길에 잡히면…" 살해 협박글 등장, 수사 착수
대통령 체포…더불어000이라고 읽는다! [석민의News픽]
이재명, 대장동 법정 조퇴로 재판 종료…"국회 본회의 출석"
윤석열 대통령 구속…헌정사 초유의 사태
현직 판사 "공수처, 尹 내란죄 수사권 있나?"…갑론을박 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