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뇌연구원, 커피가 쓰지 않은 이유?…"신경세포의 전기장 억제로 밝혀져"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의 강경진(왼쪽) 박사와 이민혁 박사후 연수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제공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의 강경진(왼쪽) 박사와 이민혁 박사후 연수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제공

한국뇌연구원은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의 강경진 박사 연구팀이 미각 신경세포들의 상호작용에서 '전기연접 억제'(ephaptic inhibition) 현상을 이용한 분자적 기전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9일 밝혔다.

전기연접 억제는 신경세포의 활성에 따라 발생된 전기장이 시냅스와 상관없이 인접한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강 박사 연구팀은 초파리의 미각 신경세포를 대상으로 전기생리학, 광유전학 및 행동유전학적 연구를 진행한 결과, 미각 신경세포 간 소통에 전기연접 억제 현상이 작용하고 있음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초파리 미각 신경세포 간의 전기연접 억제 현상은 단맛을 느끼는 신경세포가 쓴맛을 느끼는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일방향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단맛과 쓴맛 미각신경세포가 양방향으로 전기연접 억제를 한다면 서로의 활성을 방해해 단맛과 쓴맛 신호 모두 감소하지만, 단맛 신경세포가 우세한 일방향으로 작용하면 쓴맛 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강경진 박사는 "단맛이 커피나 약물의 쓴 맛을 줄이거나 과일주스를 마실 때 불쾌할 수 있는 신맛을 덜 느끼게 하는 등, 사람에서도 확인되는 단맛과 다른 미각 간 조절 현상을 이런 원리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