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부 최대 도시 로스앤젤레스(LA)에 20일째 이어진 산불이 오랜만에 내린 비로 거의 진압됐지만, 적잖은 강수량으로 인해 화재 피해 지역에서 산사태 등 추가 재해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 기상청(NWS)은 26일(현지시간) LA 화재 지역 일대에 홍수 주의보를 발령했다.
NWS는 "월요일(27일) 오후까지 이 지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에 토석류(debris flow)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홍수가 발생했을 때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토석류는 산지의 바위 파편과 풍화된 물질이 비가 내릴 때 대규모로 함께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NWS는 또 불길이 휩쓸고 간 토양에 지반을 지탱해줄 나무나 초목이 다 타버리고 지반이 약해진 탓에 빗물에 젖은 진흙이 무너져 내리며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A 일대에는 전날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해 장기간의 가뭄은 해소됐다.
다만 수개월째 내리지 않던 비가 한꺼번에 많이 내리면서 돌발적인 재해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일부 산지 지역에는 27일까지 약 사흘간 최대 76㎜가량의 강수량이 기록될 것으로 예보됐다.
이런 비 덕분에 지난 7일부터 이어진 '팰리세이즈 산불'과 '이튼 산불', 지난 22일 추가로 발생해 확산한 '휴스 산불'은 90% 안팎의 진압률을 기록하며 거의 잦아든 상태다.
이 가운데 가장 큰 94.9㎢를 태운 팰리세이즈 산불은 87% 진압됐고, 이튼 산불(56.7㎢)과 휴스 산불(42.2㎢)은 각각 95%, 92% 진화됐다.
3건의 대형 산불 피해 면적을 모두 합하면 193.8㎢로, 서울시(605.2㎢) 면적의 약 3분의 1에 달하는 규모다.
이번 화재로 파손된 건물은 1만2천채가 넘는 것으로 추산되며, 최소 28명이 불길이나 연기를 피하지 못하고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미 경제매체 CNBC는 이날 LA 산불 피해자들이 향후 주택을 재건하는 데 수년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면서 보험금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적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에 적용하려는 관세 위협으로 목재 등 건축자재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