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부겸 "제왕적 대통령제 걷어내야…비상계엄 사태 터진 이유"

"대통령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권한 분산해야"
"내년 지방선거, 늦어도 차기 총선 때는 매듭 지어야"

김부겸, 윤석열. 연합뉴스
김부겸, 윤석열.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차기 대권 주자로 꼽히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대통령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31일 김 전 총리는 오후 MBN '뉴스와이드'에 출연해 "이르면 내년 지방선거, 늦어도 다음 총선 때는 매듭지어야 한다"며 "제왕적 대통령제를 걷어낼 때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김 전 총리는 "기본적으로 12·3 비상계엄 사태가 생긴 가장 큰 이유는 대통령 한 사람에게 계엄령이라는 막강한 권한을 줬기 때문"이라고 "이런 고통을 치르고도 합의가 안 되면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유력 후보자들이 후보가 되면 국민들이 (개헌을) 요구해야 한다"며 "이렇게까지 공동체가 흔들렸는데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는데 어떤 대안을 가졌는지 물어야 하는 것 아닌가. 주요 방향과 시기까지 국민이 요구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큰 방향과 내용과 시기 정도는 국민이 요구할 권한이 있다"며 "이렇게까지 어려움과 혼란을 국민이 묵묵히 지고 있지 않나. 여기에 대해 정치인이 답할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전날 이재명 대표에게 말한 '통합' 메시지에 대해서는 "당내 주자들이 각자 비전을 가지고 호소하는 것이 당에 도움 된다"며 "그런 목소리를 억지로 누르는 것은 안 하는 게 좋겠다는 취지로 말씀하신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설 연휴 기간 김 전 총리와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통화한 것을 두고는 "정초니까 안부 인사, 덕담한 것"이라며 "김 전 지사가 개헌 논의에도 열심히 하겠다는 취지로 얘기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총리는 최근 침체된 민주당 지지율에 대해서도 의견을 냈다.

그는 지지율을 두고 한덕수 전 국무총리 탄핵 상황을 언급하며 "탄핵 이후 국정이 혼란스럽고 국민이 불안할 때 민주당이 원내 다수당으로서 성숙하고 여유롭게 국정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였더라면 지금보다는 더 강한 지지를 받지 않았을까 아쉬움이 남는다"고 밝혔다.

'민주당 내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는 "국민들이 비판하는 부분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지난 29일 이재명 대표를 향해 "지선과 총선 과정에서 치욕스럽게 당을 떠난 분들에게 사과하고 돌아올 수 있게 해야 한다"고 한 것에 대해 "말을 좀 독하게 하긴 했지만 민주당 내에서 그런 이야기들이 나오는 것 자체는 자연스럽다"고 평가했다.

이어 "(친명계 의원들도) 그에 대해 반격할 수는 있겠지만 그런 과정들이 물 흐르듯이 편안하게 이뤄지는 게 오히려 민주당의 경쟁력이나 신뢰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며 "결국 민주당 생명인 다양성, 민주성에서 다 녹여낼 수 있는 문제다. 옆에서 너무 분열로 보는 건 지나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