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권영세, "탄핵 기정사실화한 조기 대선 논의 우려" 거듭 강조

"헌정 질서와 절차적 민주주의에 지장"
"조기 대선 전제 후보 선호도 조사 잘못"
尹과 교감설에는 "사실과 다르다" 선 그어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 두번째)이 31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 두번째)이 31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조기 대선 분위기에 부화뇌동하지 말라'는 자신의 발언에 윤심(尹心·윤석열 대통령의 심기)이 반영됐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선을 긋고 나섰다.

권영세 위원장은 지난 31일 늦은 밤 언론 공지를 통해 "탄핵을 기정사실화한 조기 대선 논의는 헌정 질서와 절차적 민주주의에 지장을 줄 수 있기에 우려를 전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권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최근 야권과 일부 언론에서 마치 대통령 탄핵이 확정이나 된 것처럼 조기 대선 분위기를 조장하는 것은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기 대선을 전제로 하는 후보 선호도 조사는 잘못된 행태인 만큼 즉각 중단하는 것이 옳다"며 "우리 당에서도 이러한 잘못된 분위기에 부화뇌동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일부 언론에서 조기 대선에 대한 윤 대통령의 심기가 작용한 것이라는 취지의 보도를 하자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한 것이다. 해당 언론은 윤 대통령이 이날 면회를 온 대통령실 참모들에게 여당 내에서조차 조기 대선 분위기가 감지되자 불편한 심기를 내비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한 바 있다.

권 위원장이 윤심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한 것과 별개로 여당 내부에선 조기 대선을 두고 딜레마에 빠졌다는 반응도 감지된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인용 여부와 무관하게 조기 대선 준비를 마냥 손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당내 여론도 적지 않은 탓이다. 홍준표 대구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유승민 전 의원 등 주요 대권 주자들은 이미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헌재의 탄핵 심판 과정에 대한 보수 진영의 편향성 주장이 상당한 데다 윤 대통령 체포와 구속 과정에서 강성 지지층이 결집한 여론도 무시할 수 없는 형편이다. 설 연휴를 마친 당 의원들이 다음 주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윤 대통령 접견을 추진하는 것도 이러한 여론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앞에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 대응과 동시에 혹시 모를 조기 대선도 준비해야 하는 두 가지의 만만치 않은 과제가 놓여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보수 정가의 한 관계자는 "딜레마에 빠진 국민의힘은 당분간 두 과제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이어갈 수밖에 없다"면서도 "지금은 집권여당으로서 민생과 경제를 챙기며 야당과 차별화된 행보를 보이고 수권 능력을 보여줘야 할 때"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