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보편 관세를 오는 4일부터 각각 부과하기로 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을 포함해 아시아의 주요 수출국들이 다음 관세 표적이 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는 동맹국도 관세 폭탄 대상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사상 최대 대미 무역 흑자를 기록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전 미 재무부로부터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재지정된 한국도 '관세 전쟁'에서 안심할 수 없는 처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에 대해 수개월 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며 한국을 겨냥한 거센 '관세 공세'를 이미 예고했다. 블룸버그 등 외신은 삼성전자와 같은 반도체 업체들이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보조금을 지급받기로 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미집행 보조금 지급을 보류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북미를 겨냥해 멕시코와 캐나다에 생산 기지를 세운 기업들도 당장 비상에 걸렸다. 한국 기업들은 그동안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활용해 미국에 무관세로 수출해왔는데 관세가 부과될 경우 수출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
삼성전자는 멕시코 케레타로와 티후아나에서 가전 공장과 TV 공장을 각각 운영하고 있고, LG전자도 레이노사(TV), 몬테레이(냉장고), 라모스(전장) 등에 생산 기지를 운영한다. LG전자는 고율 관세가 부과된 제품은 여러 생산지에서 생산하는 방법으로 대응하고, 유통업체와도 협력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몬테레이에 기아 공장을 둔 현대차그룹도 공급망 조정으로 피해를 줄일 계획이다.
북미 최대 핵심 광물 생산지인 캐나다에 진출한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등 전기차·배터리 기업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국내 2차전지 업계의 우려가 큰 것은 사실"이라며 "다양한 시나리오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신들은 미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고려할 때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이 트럼프 관세의 다음 표적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 경제분석국 데이터를 인용한 ING 이코노믹스 자료에 따르면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은 최근 몇 년 동안 미국에서 늘어난 수입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로 2023~2024년 미국의 대만산 수입은 31% 늘었으며 베트남 19%, 한국 14%, 태국 12%씩 증가했다.
정부는 동맹국까지 겨냥한 무차별 통상 압박이 아직 본격화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미국 신정부의 정책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까지 트럼프 대통령과 상무장관 후보자 등의 언급을 보면 1기 행정부 당시 업적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세탁기 등을 언급한 것을 빼고 나면 한국에 관한 실질적 언급은 없었다"며 "4월 1일까지 이뤄질 정책 리뷰 기간 (한국이 받을) 타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은 무효"…尹 구속 후 첫 주말집회, 궂은 날씨에도 부산역 뒤덮은 인파
헌재 "문형배 SNS, 尹탄핵심판과 연관없어…본질왜곡"
울부짖은 전한길 "헌법재판관 '검은 커넥션'…이 재판을 국민들이 신뢰하겠나"
김부겸 "제왕적 대통령제 걷어내야…비상계엄 사태 터진 이유"
[단독인터뷰] 그라운드C 김성원, 헌법재판소 편향성 저격… "국민이 납득할 수 있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