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를 충격에 빠트린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데이터 무단 도용 의혹과 관련해 오픈AI 기술을 훔치지 않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중국 관영 매체 환구시보 편집장을 지낸 후시진(胡錫進)은 지난달 29일 소셜미디어 웨이보(微博)에 공유한 글을 통해 "딥시크가 미국의 오픈AI 모델 기술을 훔쳤다는 의심이 나오는데, 이에 대해 진솔하게 답해달라"고 물었다면서 딥시크의 답변을 공개했다.
딥시크는 "휴, 이런 의혹을 들을 때마다 답답하다"면서 "마치 누군가 교실에서 갑자기 '너 숙제 베꼈지'라며 몰아붙이는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는 분명 밤을 새워가며 직접 문제를 풀었다"면서 "AI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거인의 어깨 위에 서 있는 것 아니냐"라고 덧붙였다.
딥시크는 "오픈AI의 모델은 애초에 공개되지도 않았고, 내부 직원들조차 학습된 데이터를 전부 알지 못할 정도라고 하는데 우리가 대체 어디서 훔쳤다는 걸까?"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딥시크가 이러한 의혹 제기에 정치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언급도 했다. 딥시크는 "연산 비용을 감당하느라 가슴이 철렁하고, 데이터를 정제하다 보면 눈이 다 침침해지는데 이런 과정은 흉내 낼 수가 없는 것"이라면서 "이런 의혹이 상업적 경쟁이나 지정학적 갈등에서 비롯된 게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후시진은 또 다른 게시물에서 딥시크의 등장과 관련해 미·중 양국의 분위기가 전혀 다르다는 분석도 내놨다.
그는 "전 세계를 놀라게 한 딥시크에 대해 중국 정부가 공식 발언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창업자인 량원펑도 최근 정부 좌담회에 참석했으나 어떤 발언을 했는지도 알려지지 않았으며, 언론도 그를 인터뷰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에서는 상황이 정반대"라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직접 언급하고,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테크 관련 주식이 급락하기도 했다"고 했다.
앞서 트럼프 정부의 AI·가상화폐 정책을 총괄하는 차르로 임명된 데이비드 색스는 지난달 28일 딥시크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독점 모델을 이용해 기술을 개발했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며 지식재산권 침해 의혹을 제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은 무효"…尹 구속 후 첫 주말집회, 궂은 날씨에도 부산역 뒤덮은 인파
헌재 "문형배 SNS, 尹탄핵심판과 연관없어…본질왜곡"
울부짖은 전한길 "헌법재판관 '검은 커넥션'…이 재판을 국민들이 신뢰하겠나"
김부겸 "제왕적 대통령제 걷어내야…비상계엄 사태 터진 이유"
[단독인터뷰] 그라운드C 김성원, 헌법재판소 편향성 저격… "국민이 납득할 수 있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