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日 군함도 '조선인 강제동원' 역사 지웠다…서경덕 교수 "예견된 일"

유람선에서 군함도를 바라보는 관광객들 모습. 서경덕 교수 제공
유람선에서 군함도를 바라보는 관광객들 모습. 서경덕 교수 제공

일본이 과거 하시마(군함도) 탄광 등에서 조선인 강제 노역을 시킨 역사를 지속적으로 외면하는데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예견된 일"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일본은 9년 전 군함도를 포함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후 조선인 강제동원 역사를 반영키로한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

앞서 유네스코 측이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고 시정요구를 했지만 지난달 31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공개한 일본의 유산 관련 후속조치 보고서에는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에 위치한
도쿄에 위치한 '군함도 전시관' 입구 모습. 서경덕 교수 제공

군함도 전시관 역시도 접근성이 떨어지고 아무런 상관이 없는 장소에 세워지면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군함도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만든 산업유산정보센터(군함도 전시관)를 군함도에서 1천㎞ 떨어진 도쿄에 세울때 부터 알아봤다"며 "이는 일본 정부가 이 시설에 대해 무언가 떳떳하지 못한 상황이라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부 전시물에 대한 사진과 영상은 절대로 찍을 수가 없다. 이는 전시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왜곡된 상황이 널리 알려질까봐 두려운 마음에 행한 조치라고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해당 전시관에는 조선인 강제동원, 심각한 차별 등 피해자들이 군함도에서 겪었던 참혹한 역사적 사실을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것 역시 지적된다.

서 교수는 "지난 9년 동안 일본에게 속아 왔다. 그렇다면 이젠 대일 외교 전략을 바꿔야만 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강제동원 역사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