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콧속에 '녹조 독소'가?…환경단체 "낙동강 인근 주민 절반 검출"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열린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에서 열린 '사람 콧속 녹조 독소(유해 남세균) 검출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진보당 정혜경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낙동강 인근 거주하거나 활동한 인원 절반 가량의 콧속에서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일 더불어민주당 이용우·진보당 정혜경 의원과 낙동강네트워크, 대한하천학회, 보철거를위한금강·영산강·낙동강시민행동, 환경운동연합은 환경운동연합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이번 조사결과가 호흡기를 통한 녹조 독소 인체 유입을 국내에서 처음 확인한 사례"라 주장했다.

이어 "이번 민간 전문가 조사 결과는 녹조 에어로졸이 녹조 독소의 인체 유입에 있어 중요 경로가 될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와 부합한다"며 "녹조 독소 인체 유입 관련 장기적 위해성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차기 정부에서 가칭 '녹조 사회재난 해소를 위한 국민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도 촉구했다.

이 조사는 지난해 8월20일부터 9월12일까지 진행됐으며, 김동은 계명대 동신의료원 이비인후과 교수·이승준 부경대 교수(식품영양학)가 각각 연구와 분석을 총괄했다. 이들은 낙동강 중·하류 권역 어민·농민·주민 및 낙동강 현장조사 참여 활동가 등 총 97명 대상으로 비강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대상 97명 중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된 건 46명(47.4%)이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 지역 인원이 12명 중 10명(83.3%), 창원 지역도 14명 중 7명(50.0%) 등으로 비율이 높았다.

직업별로는 현장 활동가 60%(15명 중 6명), 농·축산업 종사자 50.0%(28명 중 14명), 어업 종사자 45.4%(11명 중 5명), 주민 41.8%(43명 중 18명) 등 순이었다.

검출이 확인된 인원 46명 중 40명 대상으로 구체적 증상을 물은 결과 23명(58%·복수응답)이 재채기를 호소했다.

이어 눈 가려움, 이상 눈물 분비 등 눈 증상을 호소하는 인원이 23명(53%)이었고, 코 관련 증상인 콧물 18명, 코막힘 15명, 코의 점액이 목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 12명 등이다. 이밖에 피부 관련 증상이 10명, 두통 호소 11명, 열감 4명, 호흡곤란 2명이 있었다.

다만 환경부는 이같은 환경단체 측 조사결과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단 입장이다. 지난해 10월 유사한 조사결과가 공개됐을 때 "국립환경과학원 및 한국물환경학회에서 3년간(2022∼2024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공기 중 조류독소는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