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젤렌스키 "北, 러시아에 2만∼2만5천명 추가 파병 정보"

"북한군, 현대전 경험쌓아 위협적 존재로 변모"
러시아가 북한, 이란 등과 동맹 강화 주목해야

1일(현지시간) AP 통신 취재진과 인터뷰에서 북한군의 러시아 추가 파병설을 주장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연합뉴스
1일(현지시간) AP 통신 취재진과 인터뷰에서 북한군의 러시아 추가 파병설을 주장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북한의 러시아 추가 파병설을 주장해 사실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공개한 정보에 따르면 북한군의 러시아 추가 파병 규모는 2만명에서 2만5천명 규모다.

2일(현지시간) 키이우 인디펜던트와 RBC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AP 통신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북한의 결속이 강화되고 있다고 경고하며 이같이 말했다.

곧 2만명이 넘는 북한군이 쿠르스크에 추가로 보내질 수 있다는 정보가 여러 방면에서 전해졌다는 것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들이 전선에 배치될 시점 등과 관련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북한군 1차 파병군이 상당한 손실을 보고 후방으로 물러나긴 했지만 현대전 경험을 쌓아 위협적 존재로 변모하고 있다면서 "이는 미국과 역내의 많은 국가에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쿠르스크 방면에서 우크라이나군이 공세를 개시, 러시아군 중앙지휘소를 미사일 등으로 타격해 러시아와 북한군 장교 다수를 사살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쿠르스크 방면 중앙지휘소를 타격했고 러시아와 북한 핵심 장교들이 사망했다"면서 "우리 측은 미사일과 여러 유형의 무기를 썼고, 그들은 수십 명의 장교를 잃었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러시아가 이란, 북한과의 동맹을 공식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동맹국들과 이전에도 기술과 무기 등을 주고받는 관계가 있었지만, 이제는 적극적으로 이를 구매해 전쟁에 투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세 나라는 핵보유국이란 점 외에도 사실상 미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결성했고, 이는 매우 위험한 협력"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북한은 작년 11월 1만1천여명 규모의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했으며, 서방 당국은 북한군 사상자와 실종자가 4천명에 이른다고 보고 있다.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은 북한군 전력이 파병 후 3개월 만에 거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